'나도 K영어 가이드'

영문법

관계 대명사 완전 해부

써니제이 스피킹 2010. 8. 16. 11:07
 

관계대명사

관계 대명사란?

접속사(문장이나, 절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와 대명사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문법.


보충설명. 학생들이 영어를 처음에 접했을 때, 인칭대명사의 격변화라고 배웠을 것이다.

1.2.3인칭에 따라서 대명사가 바뀌는 것처럼, 관계대명사는, 격과, 사람/사물에 따라 바뀐다

앞에 명사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대명사

내 이름

I

my

me

mine

그녀 이름

She

her

her

hers

사물 이름

It

its

it

x

그들의 이름

They

their

them

theirs


선행사

주격

소유격

목적격

사람

who

whose

who(m)

사물.동물

which

whose, of which

which

사람.사물.동물

that

-

that

사물(선행사포함)

what

-

what


이 문장에서 밑줄 이 바로 대명사 들이다. 이제부터 앞에 쓴 명사를 다시 쓰지 않는 영어의 특성을 살린 관계 대명사를 배울 것이다. 

--------------------------------------------------------------------

I have a sister. Her(Sister's) name is Yu-jeong Gang. She(sister) enjoys going shopping. I used to go shopping with her(sister) to buy clothes and buy her hers(sister's clothes) sometimes.

--------------------------------------------------------------------


그녀 이름

She

her

her

hers

사람

who

whose

who(m)


위에 문장을 몇 개씩 잘라서, 관계 대명사라는 문법을 이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어 보자.

① I have a sister. She enjoys going shopping. -> I have a sister who enjoys going~.

② I have a sister. I used to go shopping with her.

-> I have a sister who(m) I used to go shopping with.

③ I have a sister. Her name is Yu-jeong Gang. -> I have a sister whose name is.

선행사란?  뒤에 대명사의 원래 명사.


기본적인 개념정리?  여기에서 봤듯이, 관계 대명사라는 것은, 앞에 명사가 사람 일 때는, 위에 있는 표의  첫째 줄의 규칙대로 써주면 되고, 앞에 명사와 뒤에 명사의 관계에서, 앞에 말한 명사가 뒤에 말한 명사의 주어일 경우에는 주격 who, 목적격 who(m), 소유격 whose 을 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위에서는, 선행사를 사람으로 했지만, 이번에는 선행사를 사물로 해보자.

--------------------------------------------------------------------

Yesterday, I stopped by Homeplus by chance. I went around to buy something I need. In the section of life, I bought a chair. It(Chair) was very comfortable and Its(Chair's, of chair) color was nice. on the way back home, I bummed into a friend of mine. I heard he has lost his chair so I gave it(the chair) to him.

--------------------------------------------------------------------

이 문장에서 (밑줄) 이 바로, 대명사 들이다. 이제부터 앞에 쓴 명사를 다시 쓰지 않는 영어의 특성을 살린 관계 대명사를 배울 것이다. 

인칭 대명사

It

its

it

x

관계 대명사

which

whose, of which

which


위에 문장을 몇 개씩 잘라서, 관계 대명사라는 문법을 이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어 보자.


I bought a chair. It was very comfortable. -> I bought a chair (which) was very~.

I bought a chair. its color was nice. -> I bought a chair (of which) color was nice.

I gave a chair to him. I bought it.   -> I gave a chair (which) I bought to him. 


이렇게, 위에서 배운 관계 대명사들은 앞에 쓰인 명사를 대신해서 써 주는 대명사의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제부터 배울 what 은 관계 대명사라는 말보다는 관계명사에 어울리는 것이다.


 

문법

관계 대명사 which

관계 명사 what

공통점

품사

접속사 

접속사

차이점

역할

앞에 쓰인 명사를 대신해 주는 대명사 역할

대명사 역할이 아닌, what 자체가 명사

용법

①명사+which 

주,목,보어 역할이 아닌, 주,목,보어로 쓰인 명사의 대명사 역할만 함.

②What(=the thing which)

명사이므로, 문장에서 주,목,보어 역할을 한다.


① The thing (which women wants) is love. ->② (What women wants) is love.

① The thing (which I said) is true. ② (What I said) is true.

① The thing (which I meant.)       ② That's not (what I meant)

What we have to do is English.->② We have to learn English which is essential.



위의 내용과 함께, 관계 대명사라는 것은, 어떤 면에서 보면 형용사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봐도 된다. 형용사는 명사를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문법이고, 이러한 역할처럼 관계 대명사가 쓰이기 때문이다. (선생님 설명 참고..)

여기까지가, 관계 대명사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Ⅰ. 현대 영어에서 관계 대명사라고 잘못 인식되고 있는 that 에 대해서 배워 보자.


미리 결론을 내리자면, that 이라는 것은 관계 대명사가 아닌, 접속사 이다.

증명①:


① She is the girl.   I met the girl. (앞에 명사와 뒤에 명사가 관련)

② She is the girl.   I met her.   (뒤에 명사를 대명사로 수정) 이 순서는 생략가능

③ She is the girl.   I met who(m). (관계 대명사로 전환)

④ She is the girl who(m) that I met . (한 문장 SV 2개씩이므로, that 접속사 삽입)

⑤ She is the girl who that I met. ( 중세영어에서의 영어는 이렇게 쓰였다.)

⑥ She is the girl who(m) I met. (영어의 간결화라는 법칙으로 당연한 내용의 that 생략)

⑦ She is the girl I met. (관계 대명사가 뒤에 문장의 목적어로 쓸 때 생략 가능)


증명②: that은 쉼표(,) 뒤나, 전치사 뒤에 쓰일 수 없다?


We live the house. My grandfather had lived in house.

-> We live the house (which) my grandfather had lived in. (O)

=  We live the house (in which=house) my grandfather had lived. (O)

=  We live the house (in that≠in house) my grandfather had lived. (X)

  설명: 위에서도 말했듯이, that 은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 역할이지, 명사를 대신하는 명사(대명사)가 절대 아니다.


cf. It was the Second World War.  the Second World War breaks out in 1939.

-> It was the Second World War, which breaks out in 1939. (O)

≠It was the Second World War, that breaks out in 1939. (X)


cf. She has dogs and cats.  She likes dogs and cats most.

-> She has dogs and cats, which she likes most.

≠  She has dogs and cats, that she likes most.


하지만, 이러한 내용이 퇴색되어서, 영어에서는 관계 대명사 which 보다는 접속사 that을  선호 하는 경우가 생겨났다.


 접속사 that 의 특징 및 용법

->앞에 쓰인 명사가, 주로 사물이나 동물인 경우에 씀. (사람일 때도 쓸 수 있다.)

->주격과 목적격만 있고, 소유격은 없음.

->선행사가 주로 <사람+사물>, <사람+동물>일 때 씀

cf. Look at (the boy and the dog)+are coming this way.

->계속적 용법일 때 쓰일 수 없으며, 앞에 전치사가 올 수 없다. ( 접속사 이므로)

It was the Second World War, that breaks out in 1939.

->최상급 형용사, 서수, the only, the same, all, any, every, no, very 등이 선행사를

  수식할 때 자주 쓰임. (무조건 쓰는 것은 아니라는 걸 알 것!)

cf. She is the most beautiful woman (that) was invited at the party.

cf. She answers every letter (that) she receives.

cf. This is the best music (that) I have ever heard.


->선행사 자체가 all, anything, everything, nothing 일 때 씀.

cf. There was nothing (that) she said.

cf. There was nobody (that) I was loved by.

->선행사가 의문대명사일 때나 의문대명사가 있는 의문문에 있는 경우에 씀.

cf. What are you going to tell his son (that was wrong)?

(Who(that) has common sense) can say such a thing?

(What(that) is in the box) is on the table?


Ⅱ. 현대 영어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관계 대명사의 계속적, 제한적 용법을 배워보자.


   밑에 쓰인 내용은 학교나, 일반적인 모든 영어를 학습하는 곳에서 배우고 있는 관계 대명사의 제한적, 계속적용법이다.


↓밑에 줄 친 부분을 한번 읽어보자.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과 한정적 용법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앞에 (,)가 있는 계속적용법과  (,)가 없는 제한적용법의 두가지    용법이 있다.

1)제한적 용법(한정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가 없는 경우이며 관계대명사 뒷부분을 먼저 해석

   ex)he had two sons who became teachers.

      그는 선생님이 된 두 아들이 있었다. (아들은 2명 이상)

2)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가 있는 경우이며 앞에서 차례대로 해석

   ex)he had two sons, who became teachers.

      그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선생님이 되었다.(아들은 2명)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문맥의 뜻에 따라 and, but, for, though + 대명사 로

       바꿀 수 있다.

       ex) I don't like the girl, who tells a lie

           나는 그 소녀를 싫어하는데, 거짓말을 하기 때문이다.

           I don't like the girl, for she tells a lie.


           I don't know the girl, who lives near my house.

           나는 그 소녀가 우리 집 가까이 살지만 모른다.

           I don't know the girl, though she lives near my house.



3)관계대명사 what 과 that 에는 계속적 용법이 없다.


 I can't understand what he says.

나는 그가 말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o)

 I can't understand, what he says.(x)


 he has a horse which(that) runs very fast.(o)

그는 아주 빨리 달리는 말이 한 마리 있다.

 he has a horse, that runs very fast (x)

--------------------------------------------------------------------

위에 내용을 보고 확실한 개념이 생기는가? 뭐가 이렇게 예외적인 것도 있고, 까다로운 것들이 많은지 모르겠다.


결론: 관계대명사는 제한적인 용법과 계속적인 용법이 아니라, 제한적인 용법과 非(비)제한적인 용법이 있다.


설명: 위에서 관계대명사를 거의 다 설명한 후에(page. 2 가장 끝 부분), 관계대명사가 어떠한 측면에서 보면 형용사와 비슷하게, 명사의 범위를 줄여주는 즉, 제한적인 용법으로 쓰인다고 말했을 것이다.


제한적인 용법:



cf. He had two sons (who became teachers.) 

-> He had two sons. Two sons became teachers.

여기에서 말하는 두 아들은 많은 아들 중에 단지 2명의 아들만을 말하는 제한적인 뜻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용법:




cf. He had two sons, (who became teachers.)



 여기에서 뒤에 나오는 괄호 부분이 앞의 sons을 제한 시켜주는 것이 아닌, 단순히

 아들에 대한 부연설명을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두 아들이 있고, 둘 다 의사라는 것.


제한적인 용법과 비제한적인 용법의 다른 쓰임을 보고 완벽히 이해하도록 하자.


이제 마지막으로 알아볼 관계 대명사가 생략되는 것을 배울 차례이다. 대명사가 생략 된다는 전제는, 굳이 관계 대명사라는 것, 대명사나 접속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 문장에서 빠져도 문장을 해석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경우에 빠지는 것이다. (이건 역시, 영어를 짧게 쓰려는 경제적인 측면이라 볼 수 있다.)


관계대명사의 생략


1)관계대명사가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일 때


This is the book. I want to read it.         This is the house+ I live in it.

This is the book. + which I want to read.  This is the house + which I live in.

This is the book which I want to read.      This is the house which I live in.

This is the book I want to read.             This is the house I live in


관계 대명사 앞에 전치사가 쓰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생략하지 않는다.

cf.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live.

                     (=where)

cf. I lived a house in which my grandparents had lived.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는 관계대명사가 생략되면 전치사는 관계사절의 동사 뒤로 온다.

cf. The man with whom I was talking was Mr. Kim.

= The man (whom, that) I was talking with was Mr. Kim.

= The man I was talking with was Mr. Kim.


2)관계대명사가 Be 동사의 보어로 쓰이는 경우


cf. He is not the man (that) he was ten years ago.

cf. She is not the cheerful woman (that) she used to be.

cf. He is not the man (that) he once was.


3)관계대명사 앞 또는 뒤에 there is (are), here is, it is 등이 있을 때


cf. Here is the book (which) you lent me.

cf. It is not I (who) made you cry.

cf. There is someone at the door (who) wants to see you.


4)선행사가 시간이나 때를 나타낼 경우


cf. By the time (that) you graduate from the school she will have got married.

cf. Do you know the time (that) the last train starts?





복합관계 대명사



who which what 에 -ever를 붙여서 만든 대명사로 그 자체에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다.


주격

whoever

whichever

whatever

소유격

whosever

-

-

목적격

whomever

whichever

whatever


복합관계대명사의 격을 결정하는 것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기준으로 한다.


① 강조 용법의 명사절을 이끈다. (~든지)

Whoever(=Anyone who) came was welcome.

Bring whoever(=anyone who) wants to come.

He told the story to whoever would listen.

You may take whomever(=anyone whom) you like.

You may give it to whomever(=anyone whom) you like.


② 양보의 부사절을 이끈다. (~라 할지라도)

Whoever(=No matter who) you may be, I can't trust what you say.

Whomever(=No matter whom) if offends, I will speak the truth.

Whosever(=No matter whose) it is, I want to have it.

I am ready, whatever(=no matter what) may happen.

Whichever(=No matter which) he may take, he will not be satisfied with it.


③ 형용사로 뒤의 명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Return it to whosever(=anyone whose) address is on it.

He flatters whosever(=anyone whose)relation is rich.

Homework. 관계대명사를 이용하여 문장 10개를 만들어 볼 것.


I don't like the man who is standing near the door.

She is not familiar with the girl whom I had met.

That was not the ring which I had given you before.

What she wanted to say was "Good-bye".

I met a person whose name is Sam.


출처-영잘원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정리  (0) 2010.09.21
관계 대명사  (0) 2010.09.09
Must 와 Have to 의 차이점  (0) 2010.08.16
문장이 길면 꼭 있다 - 관계사   (0) 2010.08.11
최상급과 비교급 요점정리  (0) 2010.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