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t vs Have to
- Must는 의무(obligation)나 강한 추측, 즉 논리적 필요성(logical necessity)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여기서 비교하고자 하는 것은 Must가 가진 의무의 표현과 have to가 가진
의무의 표현입니다.
즉, 다시 말해서 must 와 have to 는 둘 다 "~해야 한다."라는 의무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 두가지 표현의 다른 점은 의무를 누가 정했나에 따라 달라집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Must는 자기 자신(화자)이 정하는 의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감정이 들어가 있다고 할 수 있죠.
Have to는 다른 사람, 다른 것, 즉 부모님이나 선생님,
또는 규칙이나 법등에서 정해진 의무입니다.
Must가 인간의 감정이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는 반면,
Have to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이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죠.
Must |
Have to | |
의무의 출처 |
나 자신, 화자(Speaker) |
다른 사람, 다른 것 |
예문을 통해서 한번 살펴봅시다.
I must go home now. It's late. (나는 지금 집에 가야 한다. 늦었다.)
-> 집에 가야만 하는 의무를 자기 자신이 정했기 때문에 must를 썼지요.
You must stop smoking. (넌 담배를 끊어야 돼.)
-> 담배를 끊어야 하는 의무를 내 자신이 '너'에게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must를 썼습니다. must가 쓰였기 때문에 화자의 감정이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죠.
I have to be at work early tomorrow morning.
(내일 아침 일찍 직장에 가야한다.)
-> 직장에 일찍 가야하는 의무를 내 자신이 아닌,
회사의 규칙이거나 사장이 정했기 때문에 have to를 썼습니다.
You have to finish this by tomorrow. (넌 이것을 내일까지 끝내야 한다.)
-> 끝내야 하는 의무를 내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규칙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서 정해져있기 때문에 have to를 썼습니다.
이 때, 화자의 감정이라기 보다는 일반적 사실을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Must는 흔히, "강한 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그 의무를 "내 자신"이 정해서 "감정"을 갖고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윗사람이나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쓰면 조금 실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아닐까요?
must와 have to, 둘 중의 어느 것을 써야하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뉘앙스의 차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러나 과거, 혹은 미래의 의무를 쓸 때는
must를 쓰지 않고 과거-> had to / 미래-> will have to를 사용합니다.
출처-영잘원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 대명사 (0) | 2010.09.09 |
---|---|
관계 대명사 완전 해부 (0) | 2010.08.16 |
문장이 길면 꼭 있다 - 관계사 (0) | 2010.08.11 |
최상급과 비교급 요점정리 (0) | 2010.08.11 |
전치사(Preposition) (0) | 201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