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K영어 가이드'

영문법

제2강 - 문장의 5가지1,2,3,4,5형식

써니제이 스피킹 2010. 3. 29. 15:04
Ⅱ. 형식 이야기



  1. 영어의 형식을 배우는 이유


  형식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영어에서 나올 수 있는 문장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즉 문장의 생김새라는 얘기죠. 영어에서 만들어지는 문장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5가지입니다. 여러분이 만나게 되는 영어 문장은 이 다섯 가지 형태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형태가 있고 거기에 살이 붙어 문장이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건물도 다 뜯어보고 나면 남는 것은 그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뿐입니다. 우리가 보는 영어 문장도 잡다한 것을 제외하고 나면 기본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말만 남게 됩니다. 기둥이란 건물의 가장 기초죠? 건물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형식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장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것입니다. 그렇게 기본을 이루는 문장의 형태가 5가지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영어의 5가지 기본 문장에 대해 배우는 것입니다. 뭐든지 뼈대를 알면 대략적인 생김새를 알 수 있는 법이니까요.

  2. 영어는 순서에 의한 언어이다


  잠깐 우리말 공부 좀 해볼까요? 우리말의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구분은 어떻게 하나요? 주어는 단어 뒤에 ‘-은, -는, -이, -가’가 붙고, 동사는 단어 뒤에 ‘-하다, -다’, 목적어는 ‘-을, -를, -에, -에게’, 보어는 ‘-이다, -되다, -아니다’가 붙습니다. 때문에 단어가 어디에 오든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는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① 나 영어 배운 / 배운 영어 / 영어 배운/

      영어 배운


  위의 세 문장은 각기 순서가 틀리지만 각 단어가 그 성격을 나타내는 조사(-은, -는, -이, -가, -하다, -다, -을, -를, -에, -에게, -이다, -되다, -아니다 같은 것들을 말함)가 따라 다니기 때문에 어디에 놓던지 주어는 주어, 동사는 동사, 목적어는 목적어가 확연히 구분이 되며, 따라서 뜻도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영어는 그렇지 않습니다. 영어는 자리에 의해서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가 결정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맨 앞에 오는 단어는 주어, 주어 다음 오는 단어는 동사, 동사 뒤에 오는 단어는 목적어나 보어가 됩니다. 그러니까 다음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지요.


주어 - 동사 - 목적어(보어)


  영어는 위의 순서를 벗어나면 말이 되지 않습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I learn English(○) / Learn English I(×) /

   English I learn(×) / English learn I(×)


  우리말은 단어를 어디에 배치하던 말이 되었는데, 영어는 맨 앞의 문장만 말이 되고 나머지 세 문장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서, 영어는 맨 앞에 오는 단어에 ‘-은, -는, -이, -가’를 붙이고, 그 다음에 오는 단어에 ‘-하다, -다’를, 그리고 그 다음에 오는 단어에는 ‘-을, -를, -에, -에게’를 무조건 붙이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위의 문장을 해석해 보면,


   ② 나 배운 영어 (○) / 배운다 영어 (×) /

      영어 영어 (×) / 영어 배운(×)


  맨 앞의 문장만 말이 되고 나머지 문장은 말이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조사가 단어에 붙지만 영어는 조사가 순서에 의해 결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①의 예를 보면 우리말은 조사가 단어를 따라 다니지만 영어 문장을 해석한 ②의 예에서는 조사가 세 문장 모두 ‘-는 -다 -를’ 순서로 바뀌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맨 앞은 무조건 주어, 그 뒤에는 동사, 그 뒤에는 목적어나 보어로 해석을 하기 때문입니다. 거기가 자기 자리니까요. 주어 자리에 오면 주어가 되고, 동사 자리에 오면 동사가 되고, 목적어(보어) 자리에 오면 목적어(보어)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사면 동사 자리에 있어야지 동사가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감히(?) 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주어나 목적어의 경우도 그렇고요. 이런 이유로 영어는 순서가 바뀌면 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고, 우리말과 달리 영어를 순서에 의한 언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영어의 이런 특징을 이해한다면 여러분의 영어공부는 이미 반이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자.. 자신감을 갖구요, 다음에 제시되는 영어의 어순 5가지를 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3. 1형식 이야기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영어의 5가지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그 5가지 형식 중 첫 번째, 1형식입니다. 1형식은 영어의 5가지 형식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형식입니다. 1형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주어 + 동사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이 이루어집니다. 다음 예문을 보세요.


Birds sing  / The dog runs  / He comes

                    주    동        주     동     주   동


  3문장 모두 주어와 동사만 있지만 모두 뜻이 성립됩니다. 이렇게 목적어나 보어가 없어도 말이 되는 동사를 무슨 동사라고 했나요? 스스로() 뜻을 이룰 수 있는 동사(動詞). 자동사죠. 따라서 1형식에 사용되는 동사가 바로 자동사이고, 거꾸로 말해, 자동사가 쓰인 문장은 모두 1형식이 되는 것입니다.


1 형 식


1. 영어의 제 1형식 구조는 "--는(가) --하다"의 문장으로 가장 간단한 구조입니다. 1형식 문장은 "주어 + 자동사"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때 자동사란 주어의 행동을 목적어 없이 그 자체로 표현해 주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자동사는 주어만 있으면 완전한 문장을 형성하는 동사입니다.

2. 영어의 제 1형식 문장에 해당하는 우리말에서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나는 갑니다.
그는 잡니다.
그녀는 먹습니다.
그들은 앉습니다.
너는 공부합니다.
우리는 수영합니다.
3. 이와 같이 자동사는 주어 가 되는 "나, 너, 그, 그녀, 그들, 우리"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일부 동사들은 자동사로만 쓰입니다. 여기서 자동사로 쓰이는 동사들을 살펴보고 문장을 만들어 봅시다.
a. go(가다)

b. sleep(자다)

c. eat(자/타 먹다)

d. sit(앉다)

e. study(자/타 공부하다)

f. swim(수영하다)

4. 위의 자동사들을 "I"라는 주어를 가지고 영어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나는 간다. (I go)
나는 잔다. (I sleep)
나는 먹는다. (I eat)
나는 앉는다. (I sit)
나는 공부한다. (I study)
나는 수영한다. (I swim)
* 이제 주어를 You, He, She, We, They로 바꾸어 가면서 위의 문장들을 작문해 보세요.
1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1형식 문장들입니다. 문장을 잘 살펴보시고 1형식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요소인 "주어 + 자동사"를 파악하고 그 외 나머지 요소들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 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① I go.
② I go to school.
③ I go to school by bicycle.
④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⑤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every day.
2. 위의 ①부터 ⑤까지의 문장 모두가 1형식 문장입니다. 특히 ⑤번 문장이 1형식 문장이라니 놀랍지 않습니까? 자 아래 설명을 들으면서 문장을 파악해 봅시다.
① I go.
- 주어 "I"와 자동사 "go"로만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갖춘 1형식.
- 자동사 "go"는 그 자체만 가지고 주어 "I"의 동작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다른 단어나 품사의 도움 없이 완전한 문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② I go to school.
- 주어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형태상으론 전치사를 재료로 했으므로 전치사구, 기능상으로는 부사의 기능을 하므로 부사구입니다.
- 부사는 "부차적인 품사"로서 문장의 구조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지 문장의 뜻을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하는데 도움만을 줄뿐입니다.
(설명) 우리말에서 "나는 학교에 갑니다"라는 문장에서 "학교에"는 부사입니다. 이때 학교에가 빠져도 "나는 갑니다"라는 문장이 완전한 형태로 형성됩니다. 단지 "학교에"라는 부사가 있어서 문장의 뜻이 구체적이 됩니다.

③ I go to school by bicycle.
- 주어는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기능상 부사구 즉 부사입니다.
- "by bicycle"도 역시 기능상 부사구입니다.
(설명) "나는 자전거로 학교에 갑니다"라는 우리말에서도 "자전거로"는 부사이며 "학교에"도 부사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부사는 문장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I go to school by bicycle"의 문장 을 구성하는 핵심구조는 "I go"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I go to school by bicycle"이라는 문장은 "주어+자동사+부사+부사"로 이루어진 1형식 문장입니다.

④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 주어는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기능상 부사구 즉 부사입니다.
- "by bicycle"도 역시 기능상 부사구입니다.
- "with my friend"도 우리말의 "내 친구와 함께"에 해당되는 부사구입니다.
(설명) "나는 내 친구와 함께 자전거로 학교에 갑니다."라는 문장은 "주어+자동사"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1형식 문장에 3개의 부사구 즉 부사가 첨가되어 만들어진 여전히 1형식 문장입니다 (부사는 문장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주어(I)+자동사(go)+부사1(to school)+부사2(by bicycle)+부사3(with my friend).

⑤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every day.
- 주어는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기능상 부사구 즉 부사입니다.
- "by bicycle"도 역시 기능상 부사구입니다.
- "with my friend"도 우리말의 "내 친구와 함께"에 해당되는 부사구입니다.
- "every day"는 부사구입니다. 시간의 명사 앞에 "every, last, next, this, that 같은 단어가 붙게 되면 따로 전치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자체로 부사구가 됩니다. (참고: everyday는 형용사입니다).
설명) 주어(I)+자동사(go)+부사1(to school)+부사2(by bicycle)+부사3(with my friend)+부사4(every day).
3. "유도부사"와 관련된 1형식 문장:
보통 "there is --," "there are --"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there"를 유도부사라고 합니다. 이때 "there"가 문두에 온다고 해서 주어로 오해하면 안됩니다. there는 부사입니다. 아래 문장을 참고해 보세요.
① There is a computer (컴퓨터가 한 대 있습니다).
② There are computers (컴퓨터들이 있습니다).
- ①,②번 문장의 원래 형태는 "A computer is there" "Computers are there"가 맞습니다. 이때 be동사(is, are)는 "존재하다, 있다"의 뜻을 가진 자동사입니다. - "there"는 "거기"라는 위치를 언급하는 부사입니다.
- 따라서 위의 두 문장은 "거기 있다"라는 뜻을 강조하기 위해 문장을 도치시켜 문장 앞에 둔 것입니다. 이때 there를 뒤에 있는 "--이 있다"라는 문장을 유도하고 있다고 해서 유도부사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there는 여전히 부사일 따름 입니다.

- 아래 문장들은 유도 부사를 이용하고 있는 모두 1형식 문장들 입니다.
① There is a computer on the desk.
② There is a computer on the desk in my room.
③ There is a computer on the desk in my room on the second floor.
(참고) 왜 1형식 문장이 되는 지 이해가 안되면, 앞의 설명들과 "주요 문법 사항 및 용어 정리" 부분을 꼼꼼히 다시 읽어보시길.

4. 수동의 의미가 있는 자동사:
- sell, wash 같은 동사들은 원래는 타동사입니다.
- 문의 3형식 파트에서 본격적으로 설명하겠지만, 타동사란 목적어를 반드시 동반하는 동사로서 "--을 --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그러나 가끔씩 sell, wash이 자동사로 쓰일 수 있으며, 이때는 수동적 의미가 됩니다. 아래 예를 보세요.

① These computers sell well. (이 컴퓨터들은 잘 팔립니다): 1형식
② This shirt washes well. (이 셔츠는 잘 세탁됩니다): 1형식
(참고) 위의 2 문장들은 자주 쓰이는 문장은 아닙니다. 그러나 가끔씩 문제로 출제되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4. 2형식 이야기


  2형식은 보어가 추가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주어 + 동사 + 보어


  보어란 무엇인가요? 보충해 주는 말이라고 했죠? Ⅰ의 4. 보어이야기의 예문을 참조로 해서 보면,


She is....       I am....     They are...


  위의 문장은 꼭 말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동사 뒤에 어떤 말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이 보어는 주어의 신분, 상태 등을 나타낸다고 이미 언급했습니다. 위의 보어이야기를 참조하세요.


She is beautiful.        I am a student.      They are kind.

그녀는 아름답다        나는 학생이다       그들은 친절하다

 

2 형 식


1. 기본설명:
제 2형식의 구조는 주어(S) + 동사(V) + 보어(C)의 형태를 가집니다.
- 2형식 문장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2형식 구조를 구성하는 동사의 성질과 보어를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1) 2형식 동사
- 2형식 동사의 기본은 be(am, are, is)동사입니다.
- be동사는 1형식의 자동사로도 2형식 동사(불완전 자동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Be 동사가 1형식 자동사로 사용될 때 : be동사의 뜻이 "있다"라는 존재를 의미한다.

(예) He is in his room. (1형식: 그는 그의 방안에 있다)
o is는 "있다"라는 존재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o 따라서 문장구조를 형성하는 핵심문장은 "He is"(그는 있다)입니다.
o "in his room"은 전체가 부사구입니다.

* BE 동사가 2형식 동사로 사용될 때 : be동사의 뜻이 "--입니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예) She is beautiful. (2형식: 그녀는 아름답다)

o is는 "--이다, --입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o "beautiful"은 주격보어로서 주어의 상태를 보충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o "beautiful"은 생략이 안 되는 2형식의 필수 요소입니다. 만일 생략하게 되면 "그녀는 입니다"라는 불완전한 문장이 될 뿐만 아니라 그녀가 아름답다는 내용을 전달할 수 없습니다.

(2) 2형식의 기본을 이루는 동사(be동사와 be동사군의 동사들)는 그 자체로 문장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동사도 아니고,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타동사도 아닙니다. 따라서 2형식 동사들을 일부에서는 "불완전 자동사"라고도 부릅니다. 명칭이야 어떠하든 동사의 성질과 용도를 이해하시면 됩니다.

(3) 보어: 2형식 동사(be 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합니다. 이때 보어는 주어를 보충설명해 주는 품사입니다.

① 2형식 문장의 보어는 주어의 상태를 보충설명해 주기 때문에 주격보어라 합니 다.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뿐입니다.
(예) ⓐ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입니다)
ⓑ I am smart. (나는 똑똑합니다)
(설명) ⓐ 문장은 명사 "a student"를 가지고 주어 "I"의 정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 문장의 경우 형용사 "smart"를 가지고 주어의 성질을 보충설명하고 있습니다.
2. 문의 제 2형식에 해당되는 우리말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번 작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나는 키가 큽니다.
② 그는 내 남자 친구입니다.
③ 그 여자는 아름답습니다.
④ 그들은 학생입니다.
⑤ 우리는 행복합니다.
(당부의 말씀) 굳이 작문을 권하는 것은 문법을 이용해서 실제 작문을 해 봄으로서 문법적인 지식이 실제 사용될 수 있는 완전한 실용적인 지식으로 점검되는 것 입니다. 작문을 두려워 말고 할 수 있는 만큼 해 보세요. 궁극적으로는 작문을 피해 갈 수 없습니다.
Be 동사군의 동사


문의 제2형식을 형성하는 기본동사는 Be동사입니다. 그러나 Be동사는 아니면서 문의 제2형식을 이루는 동사들이 있는데 이를 "Be동사군의 동사"라고합니다.
(주의) Be 동사군의 동사라고 해서 무조건 Be동사를 대신해서 쓸 수는 없습니다.
- Be 동사군의 동사는 형용사/명사를 보어로 가져오는 Be 동사의 역할만 대신할 수 있습니다.
* Be 동사군의 동사
(1) 감각, 지각에 관계된 동사들: look, feel, smell, sound, taste 등
- (주의) 위의 동사들은 각 동사의 성질에 따라 자동사 혹은 타동사로도 사용되지만 be 동사군의 동사로도 쓰일 수 있음.

(예)
① The shoes look comfortable. (그 신발은 편안해 보입니다)
② I feel hungry. (나는 허기져요)
③ The bread smells good. (그 빵은 냄새가 좋아요)
④ Your story sounds weird. (너의 이야기는 이상하다)
⑤ The soup tastes sweet. (그 수프는 맛이 달콤하다)
(주의) 문의 제 2형식을 형성하는 be 동사군의 동사 뒤에 오는 보어는 반드시 형용사라야만 합니다. 만일 부사가 오면 틀립니다. 예: The shoes look comfortably. ( x ) The soup tastes sweetly. ( x ) (설명) - 위의 다섯 문장들을 살펴보면 다섯 개의 be 동사군의 동사 대신에 be 동사를 대신 써도 문장은 성립한다. 즉, 이들 be 동사군의 동사들은 공통적으로 comfortable, hungry, good, weird, sweet 같은 형용사/명사들을 보어로 가져온다.


(2) be (--입니다) 유사동사들: seem, remain, appear 등
- 이와 같은 동사들은 be 동사의 원래 뜻인 "--입니다"와 유사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동사들로 2형식을 구성할 때 보어로는 반드시 형용사/명사가 와야 합니다. (주의: 이들 동사들은 2형식 동사뿐만 아니라 1형식을 위한 완전자 동사로도 이용될 수 있음)

(예)
He seems angry. (그는 화가 난 것 같은데)
She remained silent. (그녀는 조용히 있었다)

(3) become 동사군: become, grow, run, go, get 등
- become 동사군의 단어들은 "--가 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동사들은 2형식 동사로 쓰일 때만 형용사/명사를 주격보어로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He became happy. (그는 행복해 졌습니다)
She grew tired. (그녀는 점차 피곤해 졌습니다)
The river runs dry. (그 강은 말라 갑니다)
He went mad. (그는 미쳐 갔습니다)
He gets angry (그는 화가 났습니다)
(설명)become동사군의 2형식 동사들은 대체로 be 동사의 뜻인 "--입니다"의 의미에 "--가 되다"라는 진행적 의미가 첨가된 뜻을 가집니다.
* Be 동사 군의 동사를 2형식에 쓰는 이유: Be 동사군의 동사로 쓰이는 동사들을 살펴보면 각자 원래의 의미를 가집니다. Be 동사만을 쓸 경우 단순히 "--입니다"라는 사실 자체만을 설명하는 단조로운 뜻을 가집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be 동사군의 동사를 사용하므로 해서 be 동사가 가진 "--입니다"의 뜻에 be 동사군의 동사가 가지는 진행적인 풍부한 뜻을 첨가하여 문장의 의미를 보다 생생하게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것입니다.
(당부의 말씀) be 동사군의 동사들을 귀찮게 여기지 마시기 바랍니다. be 동사만 있으면 되지 뭘 또 이런 이상한 동사들을 가지고 복잡하게 만든다고 생각지 마시고, 문장이 좀더 생생하고 풍부한 의미를 가지게 만들기 위한 것이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표현력과 문장이 훨씬 다양해지고 풍부해 질 것입니다. 예를 들어 "He was mad"라는 문장은 단순히 "그는 몹시 화가 났다"라고 하는 사실 자체만 언급하고 있지만, "He went mad"라는 문장은 "그는 점차 화가 났었다"라고 하는 점점 화가 나는 상황을 생생하게 설명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장들은 여러분을 괴롭히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애정과 이해를 가지고 공부하면 훨씬 쉬워집니다.
예문과 응용


(1) 부사와 함께: 1형식에서 이미 부사와 부사구에 대해 간략하나마 설명을 했습니다. 이제 이들 부사, 부사구를 섞어서 좀더 재미있는 2형식 문장을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합시다.

① 이 빵은 맛있습니다.
② 당신은 오늘 행복해 보입니다.
③ 오늘밤 날씨가 점점 추워집니다.
④ 우유가 상했습니다.
⑤ 나는 작년에 고등학생이었습니다.
(설명) ① -- ⑤까지 자연스럽게 문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1형식과 2형식에서 제공한 앞의 설명을 다시 보아야 합니다. 참고로 위의 문장에 해당되는 영어문장을 적어 놓겠습니다. 살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의: 아래에 적힌 문장들이 유일한 정답은 아닙니다. 작문에는 하나의 정답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여러 가능한 문장들 중 하나입니다)
① This bread tastes delicious.
- delicious는 형용사입니다. 이 단어가 어려우면 good이라는 단어로 대체해도 뜻이 통합니다. (This bread tastes good)
② You look happy today.
- happy는 형용사이고, today는 여기서 부사입니다. be동사군의 동사 look을 기억하세요.
③ It gets cold tonight.
- 날씨를 나타내는 비인칭주어 it을 사용했습니다. 물론 여기서 tonight는 부사로 사용되고 있지요. 나중에 형용사에서 비교급을 배우면 "It is getting colder"라고도 작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진행적인 느낌이 더욱 생생이 살아나지요.
④ The milk went stale.
- "stale"이란 형용사가 어려우면 "bad"라는 쉬운 형용사를 써보세요. 뜻은 여전히 비슷합니다. 이처럼 문장을 만든다는 것은 꼭 어려운 단어를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순발력이 필요하죠. 왜 "went"를 썼는지는 아시겠죠?
⑤ I was a highschool student last year.
- 여기서 "last year"는 부사로 사용되었습니다. 보어는 명사 highschool student이며, 이것이 주어를 보충설명해 주는 보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 3형식이야기


  3형식은 영어 문장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영어문장이 3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3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자, 3형식은 목적어가 추가되었습니다.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 동사.. 그렇습니다. 타동사입니다. 3형식에 쓰이는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목적어는 어떻게 해석을 합니까? 단어 뒤에 ‘-를(을), -에게’를 붙이면 됩니다.


     I    think  of  you. /  I     love     you.  / He  teaches  English

    나는 생각한다  너를  / 나는 사랑한다  너를  / 그는 가르친다 영어


  자.. 위에서 보듯이 세 문장 모두 목적어가 쓰였습니다. 이렇게 3형식은 동사 뒤에 목적어가 쓰인다는 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3형식]

. 기본설명:
① 기본문형: 3형식의 기본 문형은 S(주어) + 동사(V) + 목적어(O)입니다. 3형식의 핵심적인 문법사항은 3형식을 구성하는 동사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3형식을 이루는 동사는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완전 타동사입니다.

(우리말의 경우) 우리말의 경우 영어의 3형식 문장에 해당되는 문장들은 조사 "을/를"이 붙은 목적어를 수반하는 문장들은 대체로 3형식 문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 ①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② 그는 우리를 싫어합니다.
(해설) ① -- ②문장에서 목적어(당신을/우리를)를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반드시 목적어를 동반하는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부르며 문의 제 3형식을 구성하는 기본동사입니다.

* 완전타동사: 완전타동사란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주어 + 완전타동사"만으로는 문장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문장이 문의 제 3형식 구성을 하고 있으며 완전타동사가 온 다음 그 뒤에 목적어에 해당되는 명사가 오지 않는다면 그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예: I make coffee. (o) I make. (x)

-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를 겸하고 있지만, 타동사 기능만을 하는 동사들은 주의해서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영어 공부가 어렵다는 것은 문법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동사의 기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 이하는 주의를 요하는 타동사들이면서, 시험에 자주 출제 됨.

ⓐ attend (--에 참석하다)
He attended the meeting. (o)
He attended to the meeting. (x)
ⓑ reach (--에 도착하다)
She reached her school yesterday. (o)
She reached to her school yesterday. (x)
ⓒ resemble (--를 닮다)
You resemble your father. (o)
You resemble with your father. (x)
ⓓ survive (--에서 살아남다)
They survived the plane crash. (o)
They survived in the plane crash (x)
ⓔ discuss (--을 논의하다)
We discussed the project. (o)
We discussed about the project. (x)
(해설) 대략 대표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5가지 정도의 예를 들었지만 더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동사들은 완전타동사로서 명사를 바로 직접적으로 목적어로 취하고 있습니다. 전치사는 필요치 않습 니다. (전치사에 대한 설명은 차후 전치사편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목적어: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되는 것으로 반드시 명사만이 올 수 있습니다. 명사는 단순히 한 단어가 명사를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는 것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명사의 형태)
ⓐ 명사(원래 하나의 단어로 된 명사. 예: book, cake, horse 등)
ⓑ 동명사(동사를 재료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형태는 동사원형 + --ing. 예: watching, running, drinking 등)
ⓒ 부정사(명사적 용법: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예: to live, to study, to run 등)
ⓓ 명사절(주어, 동사를 갖춘 하나의 완전한 문장이 통째로 하나의 명사 기능을 하는 것. 예: That he stole the money was not true)
ⓔ 명사구(하나의 문장 형식은 아니면서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명사기능을 하는 것. 예: Going to school with you is really good)
(해설) 명사를 공부하면서 "추상명사"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등은 사실 위의 ⓐ -- ⓔ에 해당되는 5가지 명사 형태에 대한 공부에 비교하면 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불가산 명사"를 "가산명사"로 사용했다고 해도 문장이 어색하지만 알아듣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의 5가지 명사 형태를 모르면 문장을 만들 수도 알아들을 수도 없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명사편에서 상 세히 강의하겠습니다.)

(당부의 말씀)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목적어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다고 생각 하면 문의 제 3형식도 만만해 보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면 생각보다는 영문법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결국에는 자유자재로 작문과 회화가 가능해 집니다.

3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전형적인 3형식 문장들입니다. 잘 살펴보시고 어떻게 응용되는 지 도 한번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나는 의자를 만듭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나는 내가 의자 만드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설명합니다)
(2) 위의 ① -- ④ 문장 모두가 전형적인 "주어 + 동사 + 목적어" 구조를 이루는 3형식 문장들입니다. 아래 설명을 참조하면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 주어는 "I", 타동사는 "make", 목적어는 "chairs"입니다.
- "make" 즉 "만들다"라는 동사의 목적이 바로 "의자"가 됩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 주어는 "I"가 되며 뒤에 오는 동사의 행동 주체(행동을 하는 사람)가 됩니다.
- 타동사는 "like"입니다. 뒤에 오는 목적어는 동사 "like"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됩니다.
- 목적어는 "to make chairs"전체가 되며 곧 명사구가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의자를 만드는 것" 정도입니다. 이때 "to make"는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 됩니다. 즉 "to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용해서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것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부정사편에서 하겠습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 주어는 "I"가 됩니다.
- 동사는 "like"가 됩니다.
- 목적어는 "making chairs"가 됩니다. 동사 like에 ing를 붙여 명사로 만든 즉 동명사로 만들어서 목적어로 삼았습니다. 결국 "making chairs" 전체가 하나의 명사 즉 명사구가 되어 타동사 "like"의 목적어가 됩니다. (동명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동명사편에서 하겠습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 주어는 물론 explain 앞에 있는 "I"입니다.
- "explain"는 "설명하다"라는 뜻의 타동사입니다.
- 목적어는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전체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내가 의자 만들기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것" 정도입니다. that 뒤에 오는 "I really like to make chairs"는 완전한 문장입니다. 따라서 that이 하나의 완한 문장을 하나의 품사 즉 명사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즉 명사절이 됩니다. 명사절도 명사이기 때문에 전체가 타동사 "explain"의 목적어가 됩니다. (명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사편에서 하겠습니다)

(당부의 말씀) 문의 제 3형식에 대한 핵심은 타동사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두 번째 핵심은 목적어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문의 제 3형식 구조 자체는 쉽지만, 동사의 성질과 목적어 즉 명사의 성질과 구성을 이해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차후의 명사에 대한 설명을 명사편에서 꼼꼼히 읽어보시고 다시 여기로 돌아와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6. 4형식이야기


  4형식은 목적어가 두 개 필요합니다. 목적어에는 뒤에 ‘-에게, 를(을)’이 붙는다고 했습니다. 이 두 가지 종류의 목적어가 필요한 것이 바로 4형식입니다. 따라서 4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취합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어


  이 2개의 목적어를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라고 구분하기도 하는데, 굳이 그렇게 구분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것보다 앞에 있는 목적어에는 ‘-에게’가 붙고, 뒤에 오는 목적어에는 ‘-를(을)’이 붙는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I    give   you     a doll        She    sent     me    a letter

   나는  준다  너에게   인형       그녀는  보냈다  나에게   편지


   He     showed     me      his    girlfriend

   그는   보여주었다  나에게   그의   여자 친구


  자.. 위의 문장은 모두 목적어를 두 개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에 오는 목적어는 ‘-에게’를 붙이고, 뒤에 오는 목적어에는 ‘-를(을)’을 붙입니다. 목적어가 두 개 나오는 이러한 문형... 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4형식

1. 기본설명:

① 기본문형: 4형식의 기본 문형은 S(주어) + 동사(V) + 간접목적어(I.O) + 직접목적어 (D.O)입니다. 4형식 문장의 핵심은 동사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4형식을 이루는 동사를 구체적으로는 수여동사라고 부릅니다. 4형식의 목 적은 "--에게 --을 주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우리말의 경우) 우리말의 경우 영어의 4형식 문장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문장은 "나는 당신에게 책을 줍니다"와 같이 "--에게"와 "을"이라는 조사를 가진 문장들이 대부분 영어의 4형식 문장과 유사한 경우입니다.

② 수여동사: 영어의 대표적인 수여동사는 "--을 주다"라는 뜻을 가진 "give"입니다. 말 그대로 수여동사란 "--을 수여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를 말합니다.

(주의) 문장이 수여동사를 가진다고 해서 모두 4형식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여동사와 함께 반드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있어야 4형식 문장이 성립합니다.

(예)
I will give you a cup of coffee. (난 너에게 커피 한잔을 줄 거야)

③ 간접목적어: 간접목적어란 우리말의 경우 "-에게"라는 조사가 붙어 수여대상이 되는 목적어를 말합니다. 간접목적어도 결국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명사만이 간접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간접목적어라는 말에서 "간접"이란 말은 목적어의 기능을 언급하는 말입니다.
(예)-간접목적어의 위치에 유념하길.
I will give you a cup of coffee. (난 너에게 커피 한잔을 줄 거야)

④ 직접목적어: 직접목적어란 우리말의 경우 "을/를"이라는 조사가 붙어 수여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말합니다. 직접목적어도 결국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명사만이 직접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예)-직접목적어의 위치에 유념하길
I will give you a cup of coffee. (난 너에게 커피 한잔을 줄 거야)

⑤ 4형식 문장을 이루는 주요 수여동사

* 핵심 수여동사: "give"
4형식을 이루는 핵심 수여동사는 "give"입니다. 따라서 모든 4형식 문장은 "give"라는 동사와 "give"동사는 아니지만 "give"동사의 의미 즉 "주다"라는 의미가 첨가될 수 있는 동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
I will give John a birthday present. (나는 죤에게 생일선물을 줄 거야)

* 수여동사 TOP 10: "주다" 혹은 "--에게 --하다"라는 뜻을 단어의 뜻에 포함하고 있는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주요 수여동사들입니다.

(주의) 아래 동사들은 3형식을 이룰 수 있는 단순타동사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형식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buy (3형식: "사다", 4형식: "사 주다")
He bought me a pen. (그는 나에게 펜을 하나 사 주었습니다)

ⓑ ask (3형식: "묻다", 4형식: "--에게 --을 묻다")
He asked me a question. (그는 나에게 질문을 했습니다)

ⓒ bring (3형식: "--을 가져오다", 4형식: "--에게 --을 가져오다"
Would you bring me a small box. (당신은 저에게 작은 상자를 하나 가져다주시겠어요)

ⓓ make (3형식: "--을 만들다", 4형식: "--에게 --을 만들어 주다)
I will make you coffee. (난 너에게 커피를 끓여(만들어) 줄게)

ⓔ send (3형식: "--을 보내다", 4형식: "--에게 --을 보내 주다)
My mother sent me a shirt. (어머니께서 나에게 셔츠를 보내 주셨다)

ⓕ read (3형식: "--을 읽다", 4형식: "--에게 --을 읽어 주다)
My teacher reads me a poem. (선생님께서 나에게 시를 읽어 주신다)

ⓖ show (4형식: "--에게 --을 보여주다")
He showed me his passport. (그는 나에게 그의 여권을 보여 주었다)

ⓗ tell (4형식: "--에게 --을 말해 주다")
I told him the story. (나는 그에게 그 이야기를 말해 주었다)

ⓘ get (3형식: "--을 갖다", 4형식: "--에게 --을 갖다 주다)
The waitress got me a glass of water. (그 웨이트레스가 나에게 물 한잔을 갖다 주었다)

ⓙ teach (3형식; '--을 가르치다", 4형식: "--에게 --을 가르쳐 주다)
I taught him mathematics. (나는 그에게 수학을 가르쳐 주었다)

(당부의 말씀) 위의 예에서 보았듯이 4형식은 복잡해 보이지만 비교적 간단합니다. 왜냐하면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로 동사 뒤에 2개의 명사가 연이어 나오면서 우리말로 해석할 때 "--에게 --을"로 표현되므로 표현의 범위가 비교적 구체적이고 한정되기 때문입니다. 4형식의 핵심사항은 4형식 동사를 파악해서 정리하는 것에 있습니다.

4형식 예문과 응용


1. 4형식에서 3형식 문장으로 전환: 4형식 문장의 특징은 이미 언급했듯이 "--에게 --을 주다"라고 기본 뜻을 바탕으로 문장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에게"에 해당되는 부분을 간접목적어로 처리했고, "--을" 부분을 직접목적어로 처리했습니다. 그러나 영어에는 "--에게"의 뜻을 가지는 전치사 "to"가 있으므로 to를 넣어서 "--에게 --을 주다"라는 뜻의 문장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이 경우 문장의 형식이 4형식이 아니라 3형식(주어 + 동사 + 목적어)로 변한다는 데 있습니다. 아래 문장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① I gave him my notebook (4형식: 나는 그에게 내 공책을 주었습니다)
② I gave my notebook to him (3형식: 나는 그에게 내 공책을 주었습니다)

(해설) ①, ②의 문장을 살펴보면 뜻은 동일하지만 문장의 구조는 ①은 4형식이고, ②는 3형식입니다. 왜 이렇게 바뀔 수 있는 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를 공부해야 합니다. 첫째는 4형식, 3형식을 만드는 동사의 성질을 파악해야 하고, 둘째는 전치사의 기능과 용법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 ①, ②문장을 이루는 "gave(give)"동사에 대한 이해:
* "give"는 타동사이면서 3형식과 4형식에 다 쓰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give"는 단순히 "--을 주었다"라는 3형식 문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 He gave a pen. (그는 펜을 주었다)
이 경우 누구에게 주었는지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문장은 성립합니다.

- "to"전치사에 대한 이해:
* 전치사(어떤 것 앞에 위치하는 품사)는 혼자서 독립적으로는 사용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뒤에 반드시 명사(목적격)가 옵니다. 결국, 전치사라는 명칭은 "(명사)앞에 위치하는 품사"라는 뜻이 됩니다.

* 전치사의 기능:
전치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전치사 + 명사"의 형태를 이루면서 부사 혹은 형용사의 기능을 하게 됩니다. 이때 뒤에 오는 명사와 함께 품사적 기능을 하므로 정확히 말해서 부사구 혹은 형용사구의 기능을 하게되죠. (구와 절에 대한 설명은 1형식 주요문법사항에서 짧게 언급했습니다.

* ②번 문장 "I gave my notebook to him"의 경우 전치사 "to"의 의미는 "--에게"라는 우리말에서 조사 기능을 하게 되며, 뒤에 오는 명사 "to him"과 합쳐져서 부사구의 기능을 하게되며 뜻은 "그에게"가 됩니다.

따라서 ②번 문장의 구조는 "주어(I) + 타동사(gave) + 목적어(my notebook) + 부사구(to him)가 됩니다. 부사구는 문장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핵심문장은 주어 + 타동사 + 목적어가 되는 3형식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주의) 4형식에서 3형식으로 고칠 수 있다면, 3형식 문장을 4형식으로도 고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번 ①, ②문장을 보면서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왜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3형식 문장을 4형식으로 고쳐야 하는가? :
① 별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단지 동사의 성질을 이용해서 다양한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표현력을 기르기 위한 것입니다.
② 이후에 관계대명사 배우게 되면 선행사와 관계대명사는 서로 붙어 있을수록 보다 명료한 문장이 됩니다. 이 경우 간접목적어를 선행사로 하는 관계대명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문 장 전체의 구조가 굉장히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됩니다. 이때는 문장의 구조를 3형식으로 바꾸어서 처리하면 훨씬 안정되고 간단한 문장구조를 지니게 됩니다.

(예) * ⓐ I gave him my notebook. (나는 그에게 내 공책을 주었다)
ⓑ He was in the car. (그는 차안에 있다)
- ⓐ 문장의 him과 ⓑ문장의 he가 동일인의 경우 이 두 문장은 관계대명사로 연결가 능 해 집니다.
㉠ I gave him who was in the car my notebook.
㉡ I gave him, who was in the car, my notebook.
(해설) ㉠, ㉡ 둘 다 문법 자체로는 가능한 문장들이지만 ㉠의 경우는 너무나 혼란스런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문장의 경우는 콤마를 이유해서 문장을 정리해 놓았으므로 ㉠문장보다는 좀 났지만, 여전히 복잡한 문장이므로 권장할 만한 수준은 못됩니다.
- ⓐ문장 "I gave him my notebook"을 3형식 문장으로 고친 다음, ⓑ문장과 관계대명사로 연결해 보면 우선 보기에도 대단히 깔끔한 문장이 됩니다.
* I gave my notebook to him who was in the car.
(충고의 말씀) 어떻습니까? "보기 좋은 떡이 먹기 좋다"라는 격언이 영어 문장에서도 통합니다. 눈으로 봐서 난잡한 문장은 결코 좋은 문장이 아닙니다. 이외에도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위의 설명만으로도 왜 문장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한지 이해하시겠습니까? 그렇다면 불평하지 말고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정신을 가지고 영어를 공부하십시오. 재미있어지는 날도 있을 겁니다. 제가 보장하지요.

3.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전환시 전치사 "to"이외에 다른 전치사를 사용하는 경우:
- 4형식 문장을 3형식 문장으로 전환할 때 가장 빈번히 쓰이는 전치사는 "to"입니다. "to"를 쓸 것인지 아니면 다른 전치사를 쓸 것인지는 전적으로 동사의 성질과 의미에 어떤 전치사가 가장 잘 어울리는 가의 문제입니다. "to"의 경우는 "--에게 주다"의 의미를 가지는 방향성을 강조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그럼 "to"이외에 다른 어떤 전치사가 사용될 수 있는 지 살펴봅시다.

"for"를 가져오는 동사: buy, make, get, order의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 I will buy you flowers.
(전환) I will buy flowers for you. (o), I will buy flowers to you. (x)
(해설) "buy"의 경우 "--을 사다"라는 타동사입니다. 따라서 "누구를 위해서 무엇을 사는 것"이지, "누구에게 무엇을 사는 것"은 어색합니다. 3형식으로 전환된 위의 2문장을 직역해 보면 왜 I will buy flowers for you가 맞는 문장인지 금방 드러납니다. I will buy flowers for you(나는 너를 위해 꽃을 살 거야), I will buy flowers to you(나는 너에게 꽃을 살 거야). 어떤 문장이 자연스러워 보입니까 자연스러운 의미를 가진 문장이 옳은 문장입니다.

* 아래 문장들도 위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 I will make you coffee.
(전환) I will make coffee for you. (o) I will make coffee to you (x)

ⓒ I will get you more coffee. (나는 너에게 커피를 더 갖다 줄게)
(전환) I will get more coffee for you. (o) I will get more coffee to you. (x)

ⓓ I will order you new books.
(전환) I will order books for you. (o) I will order books to you. (x)

(당부의 말씀) 좀 이해가 됐습니까? 문제의 핵심은 개별적인 동사들의 의미가 전치사 for 의 원래 의미인 "위해서"와 잘 어울려서 원래 말하고자 하는 뜻을 잘 표현하고 있느냐의 문제이지 어떤 동사는 to, 어떤 동사는 for 이런 식의 기계적인 암기는 영어공부에 적절하 지 않습니다. 항상 뜻을 생각하고 스스로 이해하고 만들어 간다는 마음으로 하시길.

"of" 가져오는 동사: ask, beg, demand가 대표적인 동사들입니다.

ⓐ I asked him a question. (나는 그에게 질문을 했다)
(전환) I asked a question of him. (o) I asked a question to him. (x)
(해설) "ask"의 경우 '묻다, 요구하다"의 타동사입니다. 잘 생각해 보면 "나에 대해서 질문을 했다"가 "내 쪽으로 질문을 했다"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위의 "for" 보다는 덜 명확하지만, 이런 식으로라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He begged me some money. (그는 내게 돈을 간청했다)
(전환) He begged some money of me. (o)
He begged some money to me. (x)
(해설) 이 경우는 보다 확실하게 "to"를 쓸 수 없는 것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He begged some money of me" 경우 of는 소유격 의미로 사용되어 "그는 나의 돈을 간청했다"라는 뜻이 됩니다. 그러나 He begged some money to me의 경우는 "그는 내 쪽으로 돈을 간청했다"라는 뜻이 되므로 어색해 집니다.

ⓒ I demand you nothing. (나는 너에게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아)
(전환) I demand nothing of you. (o) I demand nothing to you. (x)
(해설) of의 의미를 "--에 대한"으로 해석해 보면 내용이 명백해 집니다. "난 너에 대해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다"라는 문장이 "나는 너 쪽으로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아"보다 원래의 의미에 충실한 문장입니다.

(충고의 말씀) 어떤 전치사를 쓰는 가를 보다 충실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성질을 면밀히 관찰하는 자세가 필요하고, 문장의 원래 뜻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계적인 법칙을 바라는 사람들의 공부자세는 게으른 습관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모든 표현을 몇 개의 법칙으로 일괄적으로 처리될 수 없습니다. 결국은 우리가 배우는 것은 말입니다. 다른 사람의 문장을 읽을 때 위에서 설명한 문장이 나올 때마다 하나하나 숙지해 들어가는 방법이 제일 빠른 방법입니다

 

 


  7. 5형식이야기


  자, 형식의 마지막입니다. 여기서도 보어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2형식에서의 보어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5형식의 형태를 보겠습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2형식에도 보어가 사용됩니다만 그 때 사용되는 보어는 주격 보어라고 해서 주어의 상태나 신분, 성격을 나타내지만 5형식의 보어는 목적격 보어라고 해서 목적어의 상태나 신분, 성격을 나타냅니다. 먼저 2형식의 보어를 먼저 볼까요? 다음 문장을 보세요.


She is kind. (그녀는 친절하다.)


  이 문장은 주어인 She(그녀)의 친절하다는 성격을 나타냅니다. 자 그럼 5형식의 보어는 어떤지 보겠습니다.


        I think her to be kind. (나는 그녀를 친절하다고 생각한다.)

        She makes me happy.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한다.)


  자.. 이 문장은 5형식 문형을 갖추고 있는데요, 첫 번째 문장에서 친절한(kind) 것은 누가 친절하다는 것인가요? 주어인 ‘I’인가요? 아니죠? 분명히 내가 친절하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친절한 것은 ‘I’가 아니라 바로 ‘her’입니다. 그러니까 바로 목적어인 her의 친절한 성격을 말하는 것이죠. 두 번째 문장도 마찬가지입니다. 행복한(happy) 것은 목적어인 나(me)이지, 주어인 She가 아니라는 거죠. 주어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목적어의 성격을 얘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보어를 목적격 보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2형식의 보어는 주어 설명, 5형식의 보어는 목적어 설명.. 잊지 마세요.

 

5 형 식


1. 기본설명:
① 기본문형: 문의 제 5형식을 이루는 기본문형은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보어(O.C)입니다. 문의 5형식에서 핵심은 동사의 성질과 목적보어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영어의 문의 제 5형식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나는 너를 내 친구로 만들겠어" 혹은 "넌 나를 슬프게 했어(넌 나를 슬픈 상태가 되게 했어)"처럼 목적어가 목적보어의 상태가 되게 만드는 뜻을 가진 문장입니다. 따라서 문의 제 5형식은 어떤 동사가 5형식을 구성할 수 있으며, 목적보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② 5형식 동사: 5형식 구문을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동사는 "make"입니다. "Make" 동사를 이용해서 "--을 --로(하게) 만들다"라는 구문을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make"동사를 기본으로 해서, "make"동사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5형식 동사를 숙지하는 것이 체계적인 순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③ 목적보어: 문의 제 2형식에서 이미 보어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문의 제2형식에 등장 하는 보어를 주격보어라고 했는데 그 이유는 주어의 상태와 정체를 보충설명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억 나십니까? 기억이 희미하면 다시 2형식으로 돌아가서 보어에 대한 개념설명을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개념 1) 문의 제5형식에 등장하는 목적보어는 목적어의 상태/정체를 보충 설명하는 말입니다.
(개념 2) 제2형식의 주격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가 명사와 형용사였듯 이, 문의 제5형식에서도 목적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역시 명사 혹은 형용사뿐입니다. 주격보어든 목적격보어든 보어는 보어이기 때문에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동일한 것입니다. 단지 주격보어와 목적 격보어는 무엇을 보충설명하는가 하는 기능상의 차이일 뿐입니다.
④ 5형식 동사: "make"동사를 기본으로 해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5형식 동사 연구.
ⓐ make
㉠ My father made me a teacher. (5형식: 아버지는 나를 선생으로 만들었습니다)
㉡ My father made me happy. (5형식: 아버지는 나를 행복하게 만들었습니다)
(해설) ㉠, ㉡ 문장 모두 "make"동사가 5형식을 만들고 있으며 명사 "a teacher"와 형용사 "happy"가 목적어인 "me"를 보충설명하고 있습니다.
- ㉠문장에서 목적어 "me"와 목적보어 "a teacher"는 같은 사람이면서 목적보어가 목적어의 정체를 보충설명하고 있습니다.
- ㉡문장에서 목적보어 "happy"는 목적어 "me"의 상태를 보충설명하고 있습니다.

ⓑ find
㉠ I found him guilty. (5형식: 나는 그가 유죄라는 것을 알았다)
(해설) "find"동사는 3형식 문장을 이루는 단순타동사로도 쓰이지만, 5형식 문장에서 쓰일 때는 목적보어를 형용사로 가져올 수 있으며, 뜻은 "목적어가 목적보어 상태인 것을 알다"라는 뜻이 됩니다.
- 목적어 "him"이 목적보어 형용사 "guilty"인 상태인 것을 발견했다(found)라는 뜻이 됩니다.

ⓒ elect
㉠ We elected him chairperson. (우리는 그를 의장으로 선출했다)
(해설) "elect"라는 동사는 "--를 선출하다"라는 뜻으로 5형식문장에서 쓰일 때는 목적보어를 어떤 직책을 말하는 명사로 가져옵니다.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가져오는 5형식 동사: want, allow, expect, warn 등
5형식에서 목적격 보어자리에 들어가는 "to 부정사"는 형용사적 용법의 부정사이므로 결국 "to 부정사"가 형용사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나 형용사뿐이라는 이전의 설명이 여전히 유효합니다. (좀더 자세한 설명은 형용사편을 참조하세요)
want:
I want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해설) 목적어 "want"가 목적보어 "to drive my car"하는 상태가 되도록 바란다는 뜻으로 목적보어 "to drive"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형용사 기능을 하게 된다. want가 5형식으로 쓰일 때는 목적격 보어로 to 부정사를 가져온다는 것을 명심하시길.

allow:
He allowed me to use his room. (그는 내가 그의 방을 쓰는 것을 허락했다)
(해설) "want"와 마찬가지로 "allow"도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사용한다.

expect:
I expect you to study until 5 o'clock. (나는 네가 5시까지 공부하길 기대해)
(해설) "expect"도 역시 5형식 동사로 쓰일 때는 목적보어로 반드시 to 부정사를 가져 옵니다.

warn:
I warn him not to go there. (나는 그에게 거기에 가지 말라고 경고했다)
(해설) "warn" 역시 5형식 동사로 쓰일 때는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가져옵니다. 위의 문장에서 흥미있는 점은 to 부정사에 대한 부정을 만들 때는 not의 위치가 반드시 to 앞이라야 합니다.

(요약정리) 5형식문장에서 가장 핵심은 동사의 성질과 목적보어의 형태를 파악하는데 있습니다. 목적보어가 단순히 하나의 단어로 명사/형용사로 될 때는 별 문제가 없지만, 앞에서 처럼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 목적보어로 들어온다든지 하는 경우는 다소 복잡해 보입니다. 그러나 결국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도 동사를 형용사로 바꾸는 형식이기 때문에 형용사로 취급하면 됩니다. 명사와 형용사의 형태에 대한 자세한 공부는 명사, 형요사편에서 하겠습니다.
5형식 예문과 응용


문의 제 5형식은 주어(명사) + 동사(동사) + 목적어(명사) + 목적보어(명사/형용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미 언급했지만 어떤 동사가 5형식을 가능하게 만드는 동사인가가 가장 중요한 핵심이며, 다음으론 목적격 보어자리에 들어 올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명사(구), 형용사(구)를 파악하는 것이 그 다음입니다. (구와 절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겠으면 1형식에서 제공하고 있는 중요 문법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용법들은 좀더 세부적인 5형식 문장들입니다.
(1) 감각/지각동사: see, feel, hear
감각/지각 동사가 5형식 동사로 올 때는 목적보어로 형용사가 오거나 원형부정사가 온다.
(예)
① I saw him walk across the bridge. (나는 그가 다리를 건너는 것을 보았다)
② I felt the car move. (나는 그 차가 움직이는 것을 느꼈다)
③ I heard him speak. (나는 그가 말하는 것을 들었다)
(해설) 다소 생소해 보이는 문장들이지만, walk, move, speak는 모두 원형부정사입니다. 원형부정사란 보통의 부정사가 "to + 동사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반 면, 원형부정사는 "동사원형"의 상태로 부정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원형부정사도 부정사이기 때문에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 적용되어 원형부정사일지라도 품사적으로는 형용사로 사용된 것입니다. 따라서 목적보어로서의 기능이 가능한 것입니다.
(2) 사역동사: have, make 등. 사역동사란 목적어가 --하도록 시키는 동사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겁니다. 영어에 서 대표적인 사역동사는 have와 make가 있는데, 사역동사 역시 감각/지각 동사처 럼 목적보어로 형용사 혹은 원형부정사를 취합니다.
(예)
① I had him cut my hair. (나는 그로 하여금 내 머리를 깍도록 했다)
② He made her cry. (그는 그녀를 울렸다)
(해설) 두 문장 모두 사역동사를 사용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목적보어로서 원형부정사(cut, cry)를 취하고 있습니다.)
(중요 사항) 이것으로 일단은 영어의 5가지 문장형식에 대한 큰 틀을 잡는 공부는 마쳤습니다. 이제부터는 이 다섯 가지 형식을 구성하고 있는 각개의 재료에 대해 공부해야 할 것입니다. 즉 영어 문장의 다섯 형식은 결국 명사, 동사, 형용사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만일 영어의 다섯 가지 문장구조형식을 이해하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명사, 동사, 형용사를 이해한다면 자유자재로 영어문장을 만들고, 남이 만든 문장을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1형식에서 5형식에 관한 설명은 여러분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공부해야하는 모든 영어공부의 중심축이 되어야 합니다.


  영어에서 어순의 5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이 ‘형식’이라는 것은 영어에서 나올 수 있는 다섯 가지의 어순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 이렇게 생긴 문장이 있구나.. 하고 이해만 하면 되지, 이 문장이 몇 형식이니 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작 여러분이 알아야 할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자.. 위에서 배운 1형식부터 5형식까지의 형식이 무엇에 의해서 결정이 되었는지 잘 살펴보세요. 바로 ‘이것’의 성격에 의해서 다섯 가지 형태의 문장이 만들어지는데요.. 잘 모르시겠어요? 영어를 잘 안다는 것은 바로 ‘이것’의 성격을 잘 파악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것’이란 바로 동사입니다. 가만히 살펴볼까요?


  1형식의 동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 2형식은 보어가 필요한 동사, 3형식은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4형식은 목적어가 두 개 필요한 동사, 5형식은 목적 보어가 필요한 동사... 그렇죠? 5개의 형식이 바로 동사에 의해, 즉 동사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석을 할 때 동사가 어떤 특징을 갖는 동사인지를 알면 해석은 그만큼 쉬워집니다.


  자.. 여러분은 다시 한 번 위로 돌아가서 5가지 형태의 동사들을 하나하나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 중에서도 여러분이 가장 눈여겨보셔야 할 것이 바로 3형식 동사, 그러니까 목적어를 갖는 동사입니다. 왜냐하면, 영어 문장에서 가장 흔한 형태니까요.


  자.. 이제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여러 가지 문장이 나오는데요, 거의 기본적인 뼈대만 갖추고 있는 문장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 우리가 여기서 형식을 배웠다고 이 문장이 몇 형식인가... 하고 그러지 마세요. 문장이 어떤 형식인가를 아는 것은 절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해석을 해서 어떤 내용인가만을 알면 되는 것입니다. 위에서 배운 5가지 문장 형식은 단지 영어에는 이러한 5가지 형태의 문장이 있다 라는 것만 제시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다섯 가지 문장 종류에 대한 해석법을 배운 것이죠. 여러 번 해석을 하다보면 위의 형식을 왜 배웠는지를 알게 되고 또한 그것이 도움이 많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만나는 영어문장 형태는 어쨌든 위의 5가지 중에 있을 테니까요.

  그리고 어쨌거나 영어는 말이기 때문에 문장과 문장은 모두 관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가령 예를 들어, ‘나는 여자 친구가 있는데, 걔는 정말 예뻐.’ 이런 식으로 얘기하지 ‘나는 여자 친구가 있는데, 저 집은 우리집이야.’ 하고 엉뚱한 말이 뒤에 이어지지는 않을 거란 말이죠. 그러니까 앞의 문장을 해석하고 어느 정도의 단어만을 알고 있다면, 뒤에 오는 말이 어떤 말인가는 정확히 해석이 되지 않더라도 대충(찍어서라도)은 알 수 있다는 말입니다.

 

출처-영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