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K영어 가이드'

영어정보·노하우

영어회화 잘하는법- 기념일,파티

써니제이 스피킹 2010. 2. 16. 14:32

영어회화 잘하는법 - 기념일, 파티

 

 

영어회화잘하는법 1. 축하할 일이 생겼다면

Congratulations on ~ !

~을 축하해!


Congratulations on +   your success!          성공을 축하해!

Congratulations on +   your promotion!         승진 축하해!

Congratulations on +   your graduation!        졸업 축하해!

Congratulations on +   your engagement!      약혼 축하해!

Congratulations on +   passing the exam!      시험에 합격한 거 축하해!        

          

영어회화잘하는법 2. 상대에게 무언가를 전달하거나 보여줄 때는

Here's ~ .

여기 ~이 있어. / ~은 이거야.


Here's +       an idea.                좋은 생각이 있어. 

Here's +        the point.             요점은 이거야.

Here's +        the problem.        문제는 이거야.           

Here's +        the story.             이렇게 된 이야기야. 

Here's +        the deal.              이렇게 하자.

                

 

영어회화잘하는법 3. 어떤 행동을 언제 할지 물으려면

When are you going to ~ ?

언제 ~ 할 거니?


When are you going to +      leave?               언제 떠날 거니? 

When are you going to +      call her?            언제 그녀에게 전화할 거니?

When are you going to +      grow up?           언제 철들 거니?

When are you going to +      quit smoking?    언제 담배 끊을 거니? 

When are you going to +      take a break?     언제 쉴 거니?


                        

영어회화잘하는법 4. 어떤 일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는

~ is just around the corner. 

~이 코앞에 다가왔어. / ~의 계절이 다가왔어. 


Spring is +     just around the corner.                봄이 코앞에 다가왔어.

Happness is +     just around the corner.          행복이 멀지 않았어.

Flu season is +    just around the corner.          독감의 계절이 다가왔어.

The ski season is + just around the corner.      스키의 계절이 다가왔어.

Summer vacation is + just around the corner.   여름방학이 코앞에 다가왔어.



미래형이라고 다 같은 건 아니야!

will과 be going to의 미묘한 차이


수홍: 

미래형이라고 하면 “I will ~”만 알고 있었는데, 요즘엔 “I'm gonna ~”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는 것 같아. gonna가 going to의 준말이라는 건 행님에게 배웠지만, “I will ~”과 “I'm gonna ~”는 어떻게 다른 건지 잘 모르겠어.



When   are you gonna        throw a housewarming party?

언제          할 거니?         집들이를 하다

                        


근철: 

미래를 뜻하는 “I will ~"과 ”I'm going to ~"(=gonna) ~"는 아주 크게 다르지는 않아. 다만 ’I'm going to ~"(=gonna) ~"를 더 자주 쓴다는 것만 알아도 괜찮아.

하지만 굳이 문법적으로 따진다면, will은 지금 당장 결심했거나 행동할 때 쓰고, be going to는 예전에 이미 결심했거나 나중에 실행할 계획을 말할 때 쓴다고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I'm gonna throw a housewarming party.”라는 말은 이사를 했으니 집들이를 해야겠다고 예전부터 생각했고, 또 조만간 집들이를 할 거라는 의미가 내포된 거야. 반면에 “I will throw a housewarming party.”라고 하면 지금 문득 집들이를 해야겠다고 결심했을 때 쓰지.

또, ‘be going to ~’와 비슷한 모양의 ‘be ~ing’도 있는데, 좀 더 구체적인 계획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어. “I'm throwing a housewarming party.”라고 하면 이미 집들이할 날짜가 정해진 경우에 하는 말이라고 보면 돼.

위의 문장은 의문문의 형태란 거 알고 있지? be동사가 앞으로 오니까, “Are you gonna throw a housewarming party?(너 집들이 할 거니?)”라는 문장에서, 언제 할 거냐는 구체적 시간을 묻는 When이 붙어서 완성된 문장이지.


 

 

배운 것을 말할 상황이 오면 겁내지 말고 도전하세요! 지금까지 익힌 문장만으로도 그럴듯한 대화가 가능합니다. 친구와 또는 거울을 보며 대화하면 할수록 실력도 늘어납니다.

 

영어회화잘하는법 situation 01 

A: Happy belated birthday! Sorry I missed your party.

B: No problem.

A: Here's something for you.

    It's just a little trifle. We all chipped in.

B: My thanks to all of you.


A: 늦었지만 생일 축하해. 파티에 못 가서 미안해.

B: 괜찮아.

A: 너에게 줄 게 있어.

   그냥 약소한 건데 다들 조금씩 모아서 산거야.

B: 다들 정말 고마워. 


 

영어회화잘하는법 situation 02

A: Congratulations on your promotion! You deserve it!

B: Thanks. We're going to celebrate tonight.

    Would you be my guest?

A: I'd love to go, but I can't make it.  Sorry.


A: 승진 축하해! 넌 그럴만한 자격이 있어.

B: 고마워. 오늘 밤 축하파티가 있는데 와 줄 거야?

A: 정말 가고 싶은데 안 될 것 같아. 미안해.


 

 [영어회화잘하는법] 영어회화잘하는법 - 기념일, 파티

 

출처
[직접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