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He has had a week's vacation and looks all _______________ for it.
(A) the better
(B) much better
(C) more better
(D) enough better
어휘: have a week's vacation 일주일 간의 휴가를 갖다
해설: 「~때문에 더욱 ...하다」라는 「all the+비교급+for」의 구문이다. for it에서 it는 vacation을 받고 있다.
정답: (A) 그는 일주일 간의 휴가를 가졌는데, 그로 인해 더욱 더 좋아 보였다.
202. In 1990, thirty two American states were operating lotteries, which
produced _______________ $8.5 billion in revenues.
(A) no less than
(B) none less than
(C) nor less than
(D) neither less than
어휘: state 주(州) / operate 운영하다 / lottery 복권 / produce 생산하다, 낳다 / revenue 수익
해설: no less than은 「~만큼」의 뜻이고, not less than은 「적어도」의 뜻이다. none less than, nor less than, neither less than이란 표현은 없다. which는 주격 관계대명사로서 선행사는 lotteries다.
정답: (A) 1990년에 미국 32개 주(州)가 복권 사업을 운영했는데, 그것으로 85억 달러 상당의 수익을 올렸다.
203. (A) The smaller, (B) lesser representative one is sometimes referred to
(C) as (D) the Upper House.
어휘: representative 대표 / refer to A as B A를 B라고 부르다 / the Upper House 상원
해설: little의 비교급은 less이다. 따라서 lesser는 잘못된 표현이다. smaller와 less는 모두 representative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비교급이다. 이 문장은 refer to A as B(A를 B라고 부르다) 구문이 수동태로 쓰인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A에 해당하는 목적어가 주어 the smaller, less representative one으로 나선 것이다.
정답: (B) 때로는 규모도 작고, 수도 적은 대표부가 상원이라고 불리어진다.
204. (A) Statistics have consistently shown that (B) the most education
a person has, (C) the greater his or her earning power is likely (D) to be.
어휘: statistics 통계 / consistently 끊임없이 / earning power 소득 능력 / be likely to do ~할 가능성이 있다
해설: 접속사 that 이하 문장 끝까지는 모두 that이 이끄는 명사절로서 shown의 목적어 구실을 하고 있다. 이 문제의 풀이에 가장 중요한 것은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the+비교급, the+비교급」의 구문임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that절은 the more ~, the greater ~가 되어야 하므로, the most가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답: (B) 사람이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그 사람의 소득 능력은 그만큼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통계에 의해 끊임없이 밝혀져 왔다.
205. The bird (A) that was (B) a young one, (C) not more a year old, was born
in a (D) northern land, far across the seas.
어휘: be born 태어나다 / northern 북부의 / across ~을 건너
해설: not more 다음에는 반드시 than이 와야 한다. not more than은 「많아야, 기껏해야」의 뜻이다. that was a young one, not more than a year old는 이 문장의 주어인 the bird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정답: (C) 기껏해야 한 살 정도의 어린 새였던 그 새는 멀리 바다 건너 북부 지방에서 태어났다.
205. (A) Want of care will ruin (B) the good man (C) not less than the man of
lax (D) morals.
어휘: want of ~ ~의 결핍, 부족 / care 주의, 조심 / ruin 파멸시키다 / lax 느슨한, 해이된 / morals 도덕, 윤리
해설: want of care는 「부주의」란 뜻이고, the man of lax morals는 「부도덕한 사람, 방탕한 사람」이란 뜻이다. 「~에 못지 않게, ~만큼이나」의 뜻으로 쓰이려면 no less than이 되어야 한다.
정답: (C) 부주의는 방탕한 사람을 파멸시키는 것 만큼이나 선한 사람도 파멸시키게 된다.
206. The Grapes of Wrath, a novel about the Depression years of the 1930's,
is one of John Steinbeck's _______________ books.
(A) more than famous
(B) the more famous
(C) the most famous
(D) most famous
어휘: wrath 분노 / depression 불경기, 불황 / the Depression 1930년대 미국의 경제 대공황
해설: 최상급 앞에는 the를 붙이는 것이 원칙이나 소유격이 쓰이면 the를 붙이지 않는다. The Grapes of Wrath와 a novel about the Depression years of the 1930's는 동격 관계이다. The Grapes of Wrath (분노의 포도)는 소설 이름이다.
정답: (D) 1930년대의 대공황 시절에 대한 소설인 「분노의 포도」는 존 스타인백의 가장 유명한 소설 중의 하나이다.
207. ____________ male insects are smaller than the females, but there are
exceptions to this rule.
(A) Most
(B) The most
(C) More
(D) The more
어휘: male 남성, 수컷 / insect 곤충 / female 여성, 암컷 / exception 예외 / rule 규칙, 법칙
해설: 「대부분의」라는 뜻으로는 정관사 없이 최상급 most가 쓰인다.
정답: (A) 대부분의 수컷 곤충들은 암컷보다 작다. 하지만 이러한 법칙에 예외가 되는 것들도 있다.
208. People wonder that if Carnegie had known this when he was alive,
he would have spread _______________ his wealth to the poor.
(A) the most of
(B) more than
(C) most of
(D) more of
어휘: wonder 궁금해 하다, 알고 싶어 하다 / alive 살아 있는 / spread 흩뿌리다 / wealth 부(富), 재산 / the poor = poor people(가난한 사람들)
해설: that 이하는 모두 명사절로서, 동사 wonder의 목적어이다. that 이하 목적절 속의 문장은 「if ~ had+과거분사, ~ would have+과거분사」의 가정법 과거완료의 구문이다. most가 명사 앞에서 명사를 직접 수식하면 「대부분의」라는 뜻의 형용사가 되지만, most가 단독으로 쓰이면 「대부분, 대개」라는 뜻의 명사가 된다. 따라서 most of ~는 「~ 대부분」이 된다. the poor는 「the+형용사」로서 poor people (가난한 사람들)이라는 복수 의미가 된다.
정답: (C) 카네기가 살아 생전에 이러한 것을 알았더라도 그가 과연 그의 대부분의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을지 사람들은 궁금해 한다.
209. ______________ thing of which man can make his boast is his knowledge.
(A) The very last
(B) Very the last
(C) The last very
(D) Very last
어휘: make one's boast of ~ ~을 자랑하다 / knowledge 지식
해설: very는 최상급을 강조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the very+최상급」의 어순으로 쓰이게 된다. 여기서 last는 「가장 ~할 것 같지 않은, 결코 ~않을」의 부정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of which man can make his boast는 이 문장의 주어인 The very last thing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of which man can make his boast는 which man can make his boast of로 풀어보면 더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정답: (A) 사람이 결코 자랑할 수 없는 것은 자신의 지식이다.
210. (A) Of all his outdoor activities, Paul likes fishing (B) the best, but he
doesn't enjoy (C) cleaning the (D) fishing rods afterwards.
어휘: outdoor activities 야외 활동, 옥외 활동 / clean 청소하다 / fishing rod 낚시대 / afterwards 뒤에, 그 후
해설: 형용사의 최상급 앞에는 the를 붙이는 것이 원칙이나 부사의 최상급 앞에는 the를 붙이지 않는다. 여기서 the best는 동사 like를 수식하는 부사이므로 best로 고쳐 써야 한다.
정답: (B) 폴은 그의 모든 옥외 활동 중에서 낚시를 가장 좋아한다. 하지만 낚시 후에 낚시대를 청소하는 것은 즐거워 하지 않는다.
211. (A) The careless son of (B) noblest family (C) in town could easily
make mistakes (D) from which he would not recover.
어휘: careless 경솔한, 부주의한 / noble family 고귀한 가문, 명문 / easily 쉽게 / make a mistake 실수하다 / recover 회복하다
해설: 형용사의 최상급 앞에는 정관사 the를 붙여야 하므로, noblest는 the noblest가 되어야 한다. from which he would not recover는 which의 선행사인 mistake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정답: (B) 읍내에서 가장 고귀한 가문의 그 경솔한 아들은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쉽게 저지를 수 있었다.
212. The scientists (A) who are probably (B) mostly interested (C) in flights
to the moon (D) are geologists.
어휘: probably 아마도 / mostly 대개는 / interested in ~ ~에 관심이 있는 / flight 비행 / geologist 지질학자
해설: mostly는「대개는」이라는 뜻의 부사이며, 「매우, 대단히」라는 뜻의 부사는 most이다. 이 문장에서는 interested를 수식하는 부사가 요구되므로, mostly가 아니라 most가 필요하다. who are probably most interested in flights to the moon은 이 문장의 주어인 The scientists를 수식하고 있는 관계대명사절이다.
정답: (B) 아마도 달 여행에 가장 관심을 갖는 과학자는 지질학자들일 것이다.
213. A bad habit is (A) last thing (B) that (C) most of us are afraid (D) of.
어휘: habit 습관 / be afraid of ~ ~을 두려워하다
해설: last는 thing이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최상급의 형용사이므로 정관사 the가 필요하다. 여기서 the last는 「결코 ~할 것 같지 않은」의 부정의 의미를 갖는다. most of us에서 most는 「대부분」이라는 뜻의 명사로 쓰였다. that most of us are afraid of에서 that은 of의 목적어이며, 선행사를 the last thing으로 취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서, that most of us are afraid of는 the last thing을 수식하고 있다.
정답: (A) 나쁜 버릇이란 우리들 대부분이 결코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214. Culture is not an ornament to decorate a phrase, _______________
to show off your knowledge.
(A) still less
(B) much more
(C) not less
(D) more still
어휘: ornament 장신구 / decorate 장식하다 / phrase 어구 / show off 과시하다 / still less 더더구나 ~아니다 / much more 더구나, 하물며
해설: 비교급을 강조할 때는 much, far, even, still 등이 쓰이므로, still less(더더구나 ~아니다)와 much more(더구나)가 맞는 형태이나 much more는 문맥상 적합하지 않다. to decorate a phrase와 to show off your knowledge는 모두 형용사적 용법의 부정사가 이끄는 형용사구로서, 두 가지 다 an ornament를 수식하고 있다.
정답: (A) 문화란 어떤 어구를 장식하기 위한 장신구도 아니며, 더욱이 사람들의 지식을 과시하기 위한 장식품도 아닌 것이다.
215. He is _______________ the fastest runner in his country.
(A) enough
(B) far
(C) very
(D) much
해설: 최상급을 강조할 때는 much, by far, very 등이 쓰인다. very가 쓰일 때에는 「the very+최상급」의 어순이 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정답: (D) 그는 그의 나라에서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사람이다.
216. The girl is older than _______________ in the group.
(A) any other girl
(B) any girl
(C) all girls
(D) every other girl
해설: 비교급으로 최상급의 의미를 나타내는 「비교급+than any other+단수명사」의 구문을 알고 있느냐가 문제풀이의 관건이다.
정답: (A) 그 소녀는 그 그룹의 다른 어떤 소녀보다도 나이가 많다.
217. Nothing can be _______________ to ascertain why it has been so
successful.
(A) as interesting as
(B) more interesting than
(C) so interesting
(D) most interesting
어휘: ascertain 규명하다, 명백히 하다
해설: 부정어 nothing을 이용한 최상급의 의미를 갖는 구문으로는 Nothing ... so ~ as의 원급 비교구문과 Nothing ... more ~ than의 비교급에 의한 비교구문이 있다. why it has been so successful은 ascertain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이다.
정답: (B) 그것이 어떻게 해서 그렇게 성공적이었는가를 규명하는 일보다 더 흥미로운 일은 없다.
218. Venus is nearly the same size (A) as the Earth, but it is (B) nearer to
the Sun and has (C) very (D) hotter surface temperature.
어휘: Venus 금성 / nearly 거의 / nearer near(가까운)의 비교급 / surface 표면 / temperature 온도
해설: it is nearer to the Sun은 it is nearer to the Sun than the Earth is에서 비교 대상 than the Earth is가 생략된 표현이다. it는 물론 Venus를 받는다. very는 비교급을 수식할 수가 없으므로, very hotter에서 very 대신에 much나 far, even, still 등이 와야 한다. and has ~에서 has의 주어는 Venus이고, ~ temperature 뒤에는 than the Earth has가 생략되어 있다. 비교구문에서 비교의 대상이 분명한 경우에는 이와 같이 생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정답: (C) 금성은 지구와 거의 같은 크기이지만 태양에 더 가까이 있고, 표면 온도도 더 뜨겁다.
219. Nothing (A) so far achieved in government works (B) so well for the
greatest number and depends (C) as little upon force (D) as democratic
systems.
어휘: so far 현재까지 / achieve 이루다, 달성하다 / work 작용하다 / the greatest number 최대 다수(의 사람들) / depend upon ~ ~에 의존하다 / force 힘 / democratic system 민주 제도
해설: Nothing ... so ~ as의 구문이다. so far achieved in government(이제껏 정치 분야에서 이룩된)는 수식어구로서 주어인 nothing을 꾸며주고 있고, nothing의 동사는 works와 depends upon이다. 즉, 이 문장은 Nothing works so well for the greatest number and (nothing) depends upon force as democratic systems가 그 골격이며, 나머지 부분은 모두 수식어구이다.
정답: (C) 이제껏 정치 분야에서 이룩된 것들 중 어느 것도 민주 제도만큼 최대 다수의 사람들에게 좋게 작용되고, 힘에 덜 의존하는 것은 없다.
220. That kind of flower requires (A) more frequent watering and
(B) more tender care (C) than (D) any in the garden.
어휘: require 요구하다, 필요로 하다 / frequent 빈번한 / watering 물주기 / tender 애정이 담긴 / care 배려, 돌봄
해설: tender는 비교급이 아니라 「애정이 담긴,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의 뜻을 갖는 형용사이다. 비교급을 이용하여 최상급의 의미를 갖게 하려면 more ~ than any other one이나 more ~ than any one else의 형태가 되어야 하므로, any는 any other one이나, any one else가 되어야 한다.
정답: (D) 그런 종류의 꽃은 그 정원에 있는 어느 꽃보다도 더 자주 물을 주어야 하고, 더 세심하게 돌보아져야만 한다.
221. Many people are (A) by far (B) more careful (C) about their cars (D) than
their bodily machines.
어휘: by far (최상급을 수식하여) 훨씬 / careful 소중히 하는 / bodily machine 신체
해설: by far는 최상급을 수식하는 말이다. 비교급을 수식하려면 그냥 far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bodily machine은 사람의 신체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정답: (A)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신체보다는 자신의 자동차를 훨씬 더 소중히 하고 있다.
222. I _______________ twice to China since the Revolution.
(A) was
(B) have been
(C) have gone
(D) was gone
어휘: revolution 혁명
해설: twice라는 빈도부사가 있으므로 경험을 나타내는 현재완료가 필요하다. have been to ~는 「~에 간 적이 있다」는 표현이다.
정답: (B) 나는 혁명 이후에 중국을 두 차례 간 적이 있다.
223. The number of people who own a computer ______________ increasing
with rapidity.
(A) are
(B) have been
(C) has been
(D) has
어휘: own 소유하다 / increase 증가하다 / with rapidity 급속하게
해설: who own a computer는 people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주어인 the number of people은 단수이므로, 빈칸에는 3인칭 단수형 동사가 필요하다. 계속의 의미를 강조하는 현재완료 진행형은 have/has been ~ing이다.
정답: (C)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가 급속히 증가해 오고 있다.
224. I have _______________ Manhattan, but I can fully expect it to be my
favorite film.
(A) seen not
(B) yet seen
(C) not already seen
(D) not yet seen
어휘: fully 충분히 / expect 기대하다, 예상하다 / favorite 특히 좋아하는 / film (한편의) 영화
해설: 부정의 현재완료는 「have/has not+과거분사」의 형태가 된다. already는 부정문에 쓰이지 않는다. 부정문에는 yet을 써야 한다. expect it to be는 「목적어가 ~하기를 기대하다」라는 「expect+목적어+to 부정사」의 구문이다.
정답: (D) 아직 「맨하탄」을 보지는 못했지만, 나는 그것이 내가 좋아하는 영화일거라고 충분히 예상할 수가 있다.
225. ______________ to New York, her father has not heard anything from her.
(A) Because Mary went
(B) After Mary went
(C) When Mary went
(D) Since Mary went
어휘: hear from ~ ~로부터 소식을 듣다
해설: 주절에 has not heard라는 계속의 의미를 갖는 현재완료가 쓰였으므로 의미상 since가 이끄는 시간의 부사절이 오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정답: (D) 메리가 뉴욕으로 간 이후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로부터 아무 소식도 듣지를 못했다.
226. Technology (A) has been given more people (B) than (C) ever
the means of (D) leading a comfortable and easy life.
어휘: technology 기술 / means 수단 / lead a life 생활을 영위하다 / comfortable 편안한 / easy 안락한
해설: has been given은 수동완료형이다. 수동형은 목적어에 해당하는 말이 주어로 나설 때 쓰는 문형인데, 이 문장에는 people이라는 간접목적어와 the means라는 직접목적어가 있으므로 수동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has been given은 has given이 되어야 한다. 이 문장의 골격은 Technology has given people the means of ~가 된다. of leading a comfortable and easy life는 the means를 수식하는 형용사구이다.
정답: (A) 기술은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왔다.
227. The growth of (A) su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B) as the United
Nations (C) have changed the meaning of political (D) neutrality.
어휘: growth 성장 / organization 기구 / the United Nations 국제 연합, UN change 변화시키다 / neutrality 중립
해설: 이 문장의 골격만을 추려보면 The growth have changed the meaning.이 되어 주어 the growth와 동사 have의 수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주어인 the growth가 단수이므로 have changed는 has changed가 되어야 한다.
정답: (C) UN과 같은 그런 국제 기구의 성장이 정치적 중립의 의미를 변화시켰다.
228. Young people (A) have always (B) been (C) to some extent (D) oppose
to their elders.
어휘: to some extent 어느 정도까지 / oppose to ~ ~에 반대하다, ~과 대립하다 / elder 연장자, 노인
해설: 「~에 반대하다, ~와 대립하다」는 뜻의 표현은 be opposed to ~가 되어야 한다. 즉, 이 문장은 have been opposed로 수동의 현재완료가 되어야 한다. to some extent는 부사구이다.
정답: (D) 젊은 사람들은 언제나 어느 정도는 나이든 사람들과 대립해 왔다.
229. The bravest man the city (A) ever has (B) seen was that strong fireman
who (C) worked most of the night saving (D) lives from the big fire
at the Ballingall Hotel.
어휘: bravest brave(용감한)의 최상급 / strong 강인한, 튼튼한 / fireman 소방수 / most of ~ ~의 대부분 / save a life 생명을 구하다, 사람을 살리다
해설: 현재완료에서 부사는 have/has와 과거분사 사이에 놓이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ever has seen은 has ever seen이 되어야 한다. 이 문장의 주부는 The bravest man (whom) the city has ever seen이고, 동사는 was이다. 또 who worked ~이하 문장 끝까지는 모두 who가 이끄는 관계대명사절로서 선행사인 that strong fireman을 수식하고 있다. that strong fireman에서 that은 지시형용사이다.
정답: (A) 이제껏 그 도시에 있었던 가장 용감한 사람은 볼링걸 호텔의 대 화재 때 사람들을 구하느라 밤새 작업을 한 그 강인한 소방수였다.
230. (A) The apple blossom (B) has been gone, and fruit (C) is forming
in the place where the petals (D) have fallen.
어휘: blossom 꽃 / fruit 과일, 열매 / form 생기게 하다, 만들어 내다 / petal 꽃잎 / fall 떨어지다
해설: go는 자동사이므로 수동형으로 쓰일 수가 없다. 따라서 has been gone은 has gone이 되어야 한다. where the petals have fallen은 the plac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절이다.
정답: (B) 사과꽃이 졌다. 그리고 꽃잎이 진 자리에는 열매가 열리고 있다.
231. "Let's hurry. The president is coming."
"Oh, I was afraid that we _______________ ."
(A) already miss him
(B) had already missed him
(C) will miss him already
(D) have already missed him
어휘: hurry 서두르다 / be afraid that ~ ~하지 않을까 걱정하다 / miss 보지 못하고 지나치다
해설: that절의 시제는 주절인 I was afraid 보다 앞선 시제이므로 「had+과거분사」의 과거완료가 되어야 한다.
정답: (B) 「서두르세요. 대통령이 오고 있어요.」 - 「오, 나는 우리가 그를 보지 못 하고 지나쳐 버리지 않았나 염려했어요.」
232. The earthquake of this morning was one of the severest that we
_______________ for the past twenty years.
(A) experienced
(B) were experiencing
(C) had experienced
(D) experience
어휘: earthquake 지진 / severest severe(심한, 극심한)의 최상급 / past 지난 / experience 경험하다
해설: that 이하는 one of the severest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로서, 기준이 되는 과거시점(오늘 아침) 이전부터의 기준 시점(오늘 아침)까지의 경험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that절은 과거완료형이 되어야 한다.
정답: (C) 오늘 아침의 지진은 우리가 지난 20년 동안 경험해왔던 것 중 가장 극심한 것이었다.
233. Successful experiments in the use of anesthesia in surgery
_______________ in both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long before 1900.
(A) have been performing
(B) were performing
(C) had been performed
(D) being performed
어휘: experiment 실험 / anesthesia 마취 / long before ~ ~ 오래 전에 / perform 행하다, 실행하다
해설: 1900년이라는 과거시점 이전부터의 동작의 계속을 나타내는 문장이므로 시제는 과거완료가 되어야 한다. 행위의 대상이 되는 experiments가 주어로 나와 있으므로 과거완료 수동의 구문이 되어야 한다.
정답: (C) 1900년 이전 오래 전부터 독일과 미국에서는 수술에서 마취를 이용하는 실험들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어 왔다.
234. By the time he was forty, he _______________ as many as fifteen books.
(A) had written
(B) has written
(C) was written
(D) writes
어휘: by the time ~ ~ 때 까지 / as many as ~ ~만큼 많은
해설: 훨씬 이전부터 그가 마흔 살이 되었던 과거시점까지의 저술 행위를 나타내므로 과거 완료를 써야 한다.
정답: (A) 그가 마흔 살이 되던 때까지 그는 15권이나 되는 책들을 썼다.
235. The cost of living _______________ by ten percent before the government
took any action.
(A) went up
(B) has gone up
(C) was gone
(D) had gone up
어휘: cost of living 생활비 / take an action 조치를 취하다 / go up 오르다, 상승하다
해설: 정부가 조치를 취한 것보다 생활비가 오른 것이 시간 상 더 앞선다. 과거보다 앞선 대과거에는 과거완료를 사용한다.
정답: (D) 정부가 조치를 취하기 이전에 생활비는 이미 10%가 증가했다.
236. When Columbus (A) discovered America, he (B) thought that he
(C) arrived in India, so he called the people he (D) met "Indians."
어휘: discover 발견하다 / so 그래서, 따라서 / call A B A를 B라고 부르다
해설: that he arrived in India는 명사절로서 thought의 목적어이다. 과거동사 thought의 목적절인 that이하에서 동사 arrived는 thought보다 앞선 시제가 되어야 하므로 had arrived가 되어야 한다. he called the people he met "Indians"는 he called the people (that he met) "Indians"(그는 (그가 만난) 사람들을 인디언이라고 불렀다)로 풀어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정답: (C) 콜럼버스가 미국을 발견했을 때, 그는 자기가 인도에 도착한 줄 알고, 그가 만난 사람들을 인디언이라고 불렀다.
237. (A) Just before her death, Jean Rhys at last (B) began to receive the
literary recognition that (C) until then (D) was not given.
어휘: just before ~ ~하기 바로 전에 / at last 마침내 / receive 받다 / literary 문학적인 / recognition 인정
해설: that until then was not given은 the literary recognition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that절 내에 「그 이전까지는」이라는 until then이 있으므로 that절의 시제가 주절보다 앞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was not given은 had not been given으로 고쳐져야 한다.
정답: (D) 그녀가 죽기 바로 전에, 진 라이스는 그때까지 그녀가 얻지 못했던 문학적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238. As (A) a result, disease-bearing rats, whose population (B) has
previously (C) been controlled by cats, (D) invaded the village.
어휘: as a result 그 결과로 / disease-bearing 질병을 갖고 있는 / rat 쥐 / population 인구 수 / previously 이전에는 / control 억제하다 / invade 침략하다
해설: whose population has previously been controlled by cats는 관계대명사 whose가 이끄는 관계대명사절로서 선행사인 disease-bearing rats를 수식하고 있다. has been controlled라는 현재완료 시제와 invaded라는 과거시제가 한 문장에 같이 쓰일 수가 없다. whose가 이끄는 관계대명사절 속의 has been controlled는 주절의 invaded보다 앞선 과거완료 had been controlled로 바뀌어야 한다.
정답: (B) 이전에는 고양이에 의해 그 수가 억제되었던 질병을 가진 쥐들이 마침내는 그 마을로 침범해 들어왔다.
239. (A) Since I (B) have eaten before I (C) boarded the plane, I (D) was not
hungry.
어휘: since ~ 때문에 / board (기차, 배, 비행기 등에) 타다
해설: 「비행기에 올라 타기 전에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라는 부사절에서 음식을 먹은 것이 비행기를 탄 것보다 앞선 행위이다. 따라서 have eaten은 과거완료 had eaten으로 바꿔 써야 한다.
정답: (B) 비행기를 타기 전에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나는 배가 고프지 않았다.
240. "Did you expect Frank to come to the party?"
"No, but I _______________ that he would come."
(A) had hoped
(B) will hope
(C) would hope
(D) hopes
어휘: expect someone to do 아무개가 ~하리라 기대하다
해설: 동사 hope가 과거완료 형태로 쓰이면 이루지 못한 일을 나타내게 된다. that he would come은 hope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이다.
정답: (A) 「당신은 프랭크가 파티에 올 것이라고 기대했습니까?」 - 「아니오, 하지만 그가 와 주기를 바랬습니다.」
241. The boy _______________ far when he heard his aunt following him and
calling his name.
(A) did not go
(B) was not gone
(C) has not gone
(D) had not gone
어휘: far 멀리 / aunt 아주머니 (백모, 숙모, 이모, 고모) / follow ~을 따라가다, ~를 뒤따르다
해설: 주절과 when이 이끄는 종속절의 시간적인 차이를 인식해야 한다. 주절의 동작 go는 종속절의 동작 hear보다 앞선다. 따라서 주절은 과거완료가 되어야 한다. 과거완료 구문에 when이 이끄는 부사절이 쓰이는 경우에는 의미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heard his aunt following ~ and calling ~은 「목적어가 ~하는 소리를 듣다」라는 「hear+목적어+현재분사」의 문형이다. 물론 following과 calling은 현재분사로서 hear의 목적보어이다.
정답: (D) 그의 아주머니가 그를 따라오며 그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를 들었을 때, 그 소년은 멀리 가지 못했었다.
242. The airplane _______________ before I got to the airport.
(A) has left
(B) had left
(C) would leave
(D) will have left
어휘: get to ~ ~에 도달하다
해설: before가 쓰인 경우에도 주절과 종속절의 동작에 시간적 차이가 생기게 된다. 주절에 과거완료가 쓰이고, before가 이끄는 부사절에 과거동사가 쓰이면 의미 파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정답: (B) 비행기가 출발하고 나서야 나는 공항에 도착했다.
243. But hardly ____________ when the sky became overcast and down came
the rain again.
(A) he had started
(B) he started
(C) had he started
(D) he has started
어휘: hardly ~ when ... ~하자마자 ...했다 / overcast 흐린, 구름으로 덮인
해설: 「hardly+had+주어+과거분사, when+주어+과거동사」의 구문은 「~하자마자 ...했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down came the rain은 부사 down이 강조되어 문장 앞으로 나오며, 주어와 동사가 뒤바뀐 도치 구문이다. 이 문장의 원래 형태는 the rain came down이다.
정답: (C) 그러나 그가 출발하자마자 하늘에는 구름이 끼고, 다시 비가 오기 시작했다.
244. I (A) had hoped to (B) have learned French before my trip to Paris, but I
(C) did not have any extra money (D) for a course.
어휘: extra money 여분의 돈 / course 과정, 강좌
해설: had hoped는 과거에 이루지 못한 일에 대한 희망을 나타내고, 완료부정사 to have learned는 본동사보다 하나 앞선 시제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따라서 had hoped와 완료부정사가 동시에 쓰이는 것은 부적절하다. to have learned를 to learn으로 고쳐야 한다. to learn은 명사적 용법의 부정사로 hope의 목적어로 쓰이고 있다.
정답: (B) 나는 파리로 여행을 가기 전에 불어를 배우고 싶었다. 하지만 불어 강좌를 들을 만큼 여분의 돈이 없었다.
245. We (A) have arrived in the city not more than two days (B) before we
(C) found that we (D) needed a guide.
어휘: arrive in ~ ~에 도착하다 / not more than 많아야, 기껏해야 / guide 안내원
해설: 시제가 일치하지 않는다. before가 이끄는 부사절의 동사가 과거이므로, 주절의 현재완료 have arrived는 과거완료 had arrived가 되어야 한다. 과거완료와 before가 같이 쓰인 문장에서는 의미 파악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at we needed a guide는 found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이다.
정답: (A) 우리가 그 도시에 도착한 지 채 이틀도 못되어 우리는 가이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46. No sooner (A) he blew out the candle and (B) set it on the floor at his
side (C) than he (D) settled himself comfortably in the armchair.
어휘: no sooner ~ than ... ~하자마자 ...했다 / blew out blow out(불어서 끄다)의 과거형 / candle 양초, 촛불 / set 두다, 놓다 / comfortably 편안하게
해설: 「~하자마자 ...했다」라는 뜻의 No sooner ~ than의 구문은 「No sooner had+주어+과거분사, than+주어+과거동사」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특히 동사의 시제에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는 No sooner had he blown out ~ and (had he) set ~이 되어야 한다. set it에서 it는 the candle을 받는다.
정답: (A) 그는 촛불을 끄고, 그것을 자기 옆의 마루 바닥에 놓자마자, 안락 의자에 편안하게 자리를 잡고 앉았다.
247. When I (A) stayed in Chicago with my aunt and her children, my aunt
(B) used to ask me (C) to rest as soon as I (D) had come home.
어휘: used to do (과거에는) ~ 했었다 / rest 휴식하다, 쉬다 / as soon as ~ ~하자마자
해설: 「~하자마자」라는 뜻의 as soon as 구문에서 동사의 시제는 주절의 시제와 같이 과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had come은 came으로 바뀌어야 한다.
정답: (D) 내가 나의 아주머니와 그녀의 아이들과 함께 시카고에 있었을 때, 그녀는 내가 집에 오면 이내 나에게 쉬라고 했었다.
248. The permission that ______________ to build the roads was granted.
(A) will be needed
(B) was needed
(C) needs
(D) have been needed
어휘: permission 허락, 허가 / build a road 도로를 건설하다 / grant 승인하다
해설: 주절의 시제가 was granted하고 과거이므로 that절 속의 동사는 과거나 과거완료가 되어야 한다.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로서 선행사는 the permission이다.
정답: (B) 그 도로 건설에 필요한 허가가 승인되었다.
249. When she entered the room, he _____________ beside the center table
grinning expectantly.
(A) stands
(B) has stood
(C) was standing
(D) is standing
어휘: beside ~ 옆에 / grin 씩 웃다, 히죽히죽 웃다 / expectantly 기다렸다는듯이
해설: when이 이끄는 부사절의 동사는 과거이다. 따라서 시제의 일치를 위해 주절에서도 과거가 쓰여야 한다.
정답: (C) 그녀가 방에 들어갔을 때, 그는 기다렸다는듯 히죽이 웃으며 방 가운데 있는 테이블 옆에 서 있었다.
250. The politician declared that his party ______________ for social security.
(A) always stood
(B) have always stood
(C) has always stood
(D) had always stood
어휘: politician 정치가 / declare 선언하다, 발표하다 / social security 사회보장 / stand for ~ ~을 지지하다
해설: 주절의 동사가 과거형 declared이므로, declared의 목적어인 that절의 동사는 과거나 과거완료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의미상 계속을 나타내는 과거완료가 쓰여야 한다.
정답: (D) 그 정치가는 자신의 정당이 사회보장을 항상 지지해 왔다고 밝혔다.
251. The road was very muddy because it _______________ all night.
(A) has been raining
(B) rained
(C) had been raining
(D) would rain
어휘: muddy 진흙의, 질척한
해설: 땅이 진흙 투성이가 된 것은 비가 왔기 때문이다. 즉, 시간상으로 비가 온 것이 땅이 진흙 투성이가 된 것보다 앞선다. 따라서 because가 이끄는 부사절의 동사는 과거완료가 되어야 한다.
정답: (C) 밤새 비가 왔기 때문에 길은 매우 질척거렸다.
252. (A)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B) made it clear at the
meeting that he (C) will not step down from his position (D) as chairman.
어휘: the Board of Directors 이사회 / make ~ clear ~을 분명히 하다 / step down 사직하다, 물러나다 / position 지위, 직위
해설: 이 문장은 가목적어 it, 진목적어 that절의 구문으로서, that he ~ as chairman이 진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이다. 주절의 시제가 과거(made)이므로 that절의 시제는 과거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will not은 would not이 되어야 한다.
정답: (C) 이사회의 회장은 그 회의에서 자신이 회장직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253. Immanuel Kant (A) was so regular in his habits (B) that until the day he
(C) died people (D) have been able to set their watches by his actions.
어휘: regular 규칙적인 / set one's watch 시계를 맞추다 / action 행동
해설: 이 문장은 so ~ that ... (너무 ~해서 ...하다/...할 정도로 그렇게 ~하다)의 구문이다. until the day he died는 that절 속의 부사절이므로, 괄호로 묶어 놓고 문맥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 이 문장의 주절과 종속절에 쓰인 동사를 보면, was, died, have been과 같이 서로 시제가 일치하지 않고 있다. 두 가지가 과거형이므로 have been이 과거완료 had been으로 바뀌어야 시제가 일치된다.
정답: (D) 임마뉴엘 칸트는 그가 죽는 날까지 사람들이 그의 행동을 보고 시계를 맞추어 놓을 수 있을 정도로 습관이 아주 규칙적이었다.
254. The instructor had (A) gone over the problems (B) many times (C) before
the students (D) will take the final examination.
어휘: instructor 교사 / go over 복습하다, 반복하다 / take an examination 시험을 치루다 / final examination 기말 시험
해설: 주절의 시제가 had gone하고 과거완료형이므로, before가 이끄는 부사절 속의 동사 will take는 과거형 took로 바뀌어야 한다. 주절의 동작이 부사절의 동작보다 앞서기 때문이다.
정답: (D) 그 교사는 학생들이 기말 시험을 치루기 전에 여러 차례 그 문제들을 반복했다.
255. The detective (A) told us in his talk that every human (B) being (C) had
a distinctive set of (D) finger prints.
어휘: detective 형사 / in one's talk ~의 이야기에서, ~의 이야기 중에 / human being 인간 / distinctive 독특한 / finger print 지문
해설: 이 문장에서 that 이하는 told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독특한 지문이 있다는 것은 변화하지 않는 사실이므로 시제의 일치에 관계없이 언제나 현재형으로 쓰여야 한다. 주어가 every human being이므로 had는 3인칭 단수 현재형 has가 되어야 한다. every가 단수로 취급되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정답: (C) 그 형사는 이야기하던 중에 모든 인간에게는 독특한 지문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말했다.
256. "______________ some place next Sunday?"
"Great! How about going skiing?"
(A) Shall we go
(B) Will we go
(C) Won't we go
(D) Should we go
어휘: How about ~ing? ~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 go skiing 스키타러 가다
해설: 「우리 ~할까요?」하고 상대방에게 어떤 일을 제안하는 표현은 Shall we ~?이다.
정답: (A) 「우리 다음 일요일에 어디든 갈까요?」 - 「좋아요! 스키타러 가는 게 어떨까요?」
257. Let's go swimming this Sunday, ___________ ?
(A) will we
(B) aren't we
(C) shall we
(D) don't we
어휘: go swimming 수영하러 가다
해설: 「~합시다」하고 상대방에게 권유하는 표현인 Let's ~에 덧붙이는 부가의문의 형태는 ~, shall we?이다.
정답: (C) 이번 일요일에 함께 수영하러 가지 않을래요?
258. "I really feel drowsy."
"______________ get you some coffee?"
(A) Will I
(B) Shall I
(C) Do I
(D) Am I
어휘: drowsy 졸리는 / get A B A에게 B를 가져다 주다
해설: 상대방의 의견을 물어 「내가 ~해 드릴까요?」하고 묻는 표현은 Shall I ~?이다.
정답: (B) 「정말이지 졸립군요.」 - 「제가 커피를 좀 가져다 드릴까요?」
259. My tomb_______________ in a spot where the north wind may scatter
the roses over it.
(A) will be
(B) shall be
(C) would be
(D) was
어휘: tomb 무덤 / spot (특정한) 지점, 장소 / north wind 북풍 / scatter 흩뿌리다
해설: 무생물은 의인화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능동적인 동작을 취하거나 의지를 가질 수 없다. 이 문장의 주어인 my tomb(내 무덤)도 무생물 주어이므로 주어의 의지가 아닌 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내는 미래 조동사와 쓰여야 한다. 3인칭 주어에서 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내는 조동사는 shall이다. where the north ~ over it는 관계부사절로서 a spot을 수식하고 있다. over it에서 it는 my tomb을 받는다.
정답: (B) 북풍이 불면 무덤 위에 장미가 흩날릴 그런 장소에 내 무덤을 둘 것이다.
260. Then (A) plow deep, while sluggards (B) sleep, and you (C) should have
corn to sell and (D) to keep.
어휘: plow (땅을) 갈다, 일구다 / deep 깊게 / sluggard 게으름뱅이 / keep 보관하다
해설: 「명령문, and you shall」의 구문은 「~해라, 그러면 너는 ...하게 될 것이다」라는 뜻이 된다. 따라서 이 문장의 should는 잘못 쓰인 조동사임을 알 수 있다. shall을 쓰는 것이 적합하다. while sluggards sleep은 삽입 부사절이다. to sell과 to keep은 모두 형용사적 용법의 부정사로 corn을 수식하고 있다.
정답: (C) 게으름뱅이들이 잠자는 동안에 깊게 밭을 일구어라. 그러면 팔고 저장할 옥수수를 갖게 되리라.
261. He (A) shall (B) be punish severely if he (C) does (D) that again.
어휘: punish ~를 벌하다 / severely 엄하게
해설: 이 문장은 「내가 그를 벌하겠다」라고 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내므로 조동사 shall은 맞게 사용되었다. 수동태는 「be+과거분사」의 형태를 취하므로 be punish는 be punished가 되어야 한다.
정답: (B) 만약 그가 다시 그러면, 그를 엄하게 벌할 것이다.
262. You (A) shall have (B) half of the world if you (C) will (D) marry me.
어휘: half of ~ ~의 반
해설: 조건을 나타내는 if절에서는 미래의 일을 나타내는 경우라 하더라도 미래 조동사 will이나 shall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will이 삭제되어야 한다.
정답: (C) 당신이 나와 결혼한다면, 이 세상 절반을 주겠노라.
263. (A) The President (B) will be Command-in-Chief (C) of the Army and
(D) Navy of the United States.
어휘: command-in-chief 총사령관 / army 육군 / navy 해군
해설: 법령이나 규칙을 나타낼 때는 shall을 쓰게 된다.
정답: (B) 대통령은 미 합중국 육해군의 총사령관이 된다.
264. Heaven and earth (A) shall (B) pass away, but (C) my words (D) won't
pass away.
어휘: pass away 사라져 버리다 / words 말, 이야기
해설: 「반드시 ~할 것이다」라는 예언이나 필연적 운명을 말할 때는 미래 조동사 shall이 쓰이게 된다. 따라서 will not의 단축형인 won't는 shall not으로 바뀌어야 한다.
정답: (D) 하늘과 땅은 사라져 버릴 것이나 나의 말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265. It's scheduled to depart at 6:05, but _______________ a delay.
(A) there will be
(B) there would be
(C) there is
(D) there it will be
어휘: be scheduled to do ~할 일정이 잡혀있다, ~하기로 되어 있다 / depart 출발하다 / delay 지연, 연기
해설: There is ~구문의 미래형은 There will be ~이다.
정답: (A) 6시 5분에 출발하게 되어 있으나 지연이 될 것이다.
266. "Will you please go to New York with me?"
"No, I _______________ ."
(A) wouldn't
(B) shall not
(C) won't
(D) can
어휘: Will you please ~? ~해 주시겠습니까?
해설: 일인칭 주어 I의 의지를 나타내는 미래 조동사는 will이며, will의 부정형은 will not, 또는 그 단축형인 won't를 쓴다.
정답: (C) 「저와 함께 뉴욕에 가시겠습니까?」 - 「아니오, 안 가겠습니다.」
267. "Alice is visiting her mother today."
"In that case, _______________ you have dinner with us tonight?"
(A) shall
(B) won't
(C) wouldn't
(D) did
어휘: in that case 그런 경우에는, 그렇다면 / have dinner with ~ ~와 함께 저녁 식사하다
해설: 상대방의 의지를 묻는 표현은 Will you ~?이며, 그 부정형은 Won't you ~?로서 「~하지 않으시겠습니까?」의 뜻이 된다. Won't you ~?가 Will you ~?보다는 더 정중한 표현이 된다.
정답: (B) 「앨리스는 오늘 그녀의 어머니를 방문할 겁니다.」 - 「그렇다면 오늘 밤 우리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하지 않으시겠습니까?」
268. San Diego's new 16-mile trolley line _______________ with the Mexican
border city of Tijuana.
(A) will link up San Diego city
(B) will link San Diego
(C) shall be linking
(D) links it
어휘: trolley line 궤도 전차 / border 국경 / link A with B A와 B를 연결하다
해설: 3인칭 주어의 단순미래는 will로 나타낸다.
정답: (B) 샌디에고의 16마일 거리의 새로운 궤도 전차는 샌디에고와 멕시코 국경 도시인 티주아나를 연결시켜 주게 될 것이다.
269. (A) Those who (B) are the most persistent (C) are invariably be
(D) the most successful.
어휘: those who ~ ~하는 사람들 / persistent 끈기있는 / invariably 변함없이
해설: who are the most persistent는 주어인 Those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므로, 이 문장의 주어는 두번째 are가 된다. 그런데 두번째 are의 뒤에 be동사의 원형이 쓰이고 있으므로 are가 조동사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미상 미래를 나타내는 will이 가장 적합하다. 「the+형용사」는 「~한 사람들」이란 복수 명사가 되므로, the most persistent는 「가장 끈기있는 사람들」, the most successful은 「가장 성공한 사람들」의 의미가 된다.
정답: (C) 가장 끈기있는 사람들이 언제나 가장 성공적인 사람이 된다.
270. Whether the sales campaign (A) succeeds probably (B) not be known
for at least a year, but it (C) is clear now that the stakes (D) are high.
어휘: sales campaign 영업 활동, 판매 운동 / at least 적어도, 최소한 / stakes 내기에 건돈, (투기로 인한 금전적 손해의) 위험성
해설: 이 문장의 주부는 whether the sales campaign succeeds(그 판매 운동이 성공할 것인지)이다. 따라서 동사가 not be known이 되므로 조동사가 빠졌음을 알 수 있다. 의미상 미래시제 조동사가 필요하므로 not be known은 will not be known이 되어야 한다. it is clear now that ~에서 it는 가주어, that이하가 진주어이다.
정답: (B) 그 판매 운동이 성공할 것인지는 적어도 일 년 동안은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 위험성이 높다는 것만큼은 분명하다.
271. If we here in America (A) cannot live peaceably together, we
(B) cannot hope that nations which (C) have different living conditions
(D) lives peaceably with us.
어휘: peaceably 평화롭게 / living conditions 생활 여건
해설: here in America는 장소의 부사구로서 삽입어구이다. hope의 목적어인 that절 속에서 which have different living conditions는 that절의 주어인 nation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that절 속에서 동사는 lives가 되는데, 「희망하다」라는 hope의 목적절에는 조동사 will이 쓰이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lives는 will live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D) 만약 여기 미국에서 우리들이 함께 평화롭게 살 수가 없다면, 다른 생활 조건을 가진 민족들이 우리와 평화롭게 살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272. After the critics (A) see the two plays, they (B) shall be able to judge
which (C) is (D) the more effective and moving.
어휘: critic 비평가 / play 연극 / judge 판단하다 / effective 효과적인, 인상적인 / moving 감동적인
해설: 3인칭 주어에 쓰이는 단순미래 조동사는 will이다. which is the more effective and moving은 의문사 which가 이끄는 명사절로서 judge의 목적어이다.
정답: (B) 비평가들이 그 두 연극을 보고 난 후에라야 그들은 어느 연극이 더 인 상적이고 감동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273. _______________ to have lunch with us today?
(A) Do you like
(B) Would you like
(C) Will you like
(D) Have you like
어휘: have lunch 점심을 먹다 / would like to do ~ ~하고 싶다
해설: 「~하고 싶으십니까?」하고 상대의 의향을 묻는 표현은 Would you like to ~?이다.
정답: (B) 오늘 우리와 함께 점심 식사 하시겠습니까?
274. She _______________ miss her husband when looking out to see what the
children were doing.
(A) would
(B) will
(C) had
(D) used to
어휘: miss ~이 없는 것을 슬프게 생각하다, ~을 그리워하다 / look out 흥미있는, 관심이 있는 / used to do (과거에) ~했었다
해설: 시제의 일치가 되어야 하므로 과거형을 찾는다. 그러나 had miss라고 연결될 수는 없으니 had는 답이 아니다. 여기에서는 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used to보다는 「~하곤 했다」라는 뜻의 would가 적합하다. when looking out ~이하는 분사구문으로서 접속사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접속사 when이 현재분사 looking 앞에 표시된 형태이다. to see what the children were doing에서 to see는 「~하기 위하여, ~하려고」의 목적의 의미를 갖는 부사적 용법의 부정사이며, what the children were doing은 명사절로서 see의 목적어이다.
정답: (A) 그녀는 아이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려고 밖을 내다 보면서 그녀의 남편을 그리워하곤 했다.
275. He said that he _______________ discuss it right now.
(A) would not rather
(B) rather not to
(C) would rather not to
(D) would rather not
어휘: discuss 논의하다 / right now 지금 당장 / would rather ~하는게 낫다
해설: 「차라리 ~하는 것이 낫다」라는 뜻의 would rather는 한 단어의 조동사처럼 취급되며, 따라서 그 부정형은 would rather not의 형태가 된다. would rather나 would rather not 다음에는 동사의 원형이 온다.
정답: (D) 그는 지금 당장은 그 일에 대해 논의하지 않는 것이 낫겠다고 말했다.
276. You _______________ get your visa extended before it expires.
(A) had better to
(B) had to better
(C) had batter
(D) would better
어휘: visa 입국 사증 / get ~ extended ~의 기간을 연장시키다 / expire 만료되다, 끝나다 / had better ~하는 편이 낫다
해설: would rather와 같은 의미의 표현으로 had better가 있다. 주어가 you인 경우에는 would rather보다는 had better를 사용한다. had better 다음에도 동사의 원형이 오게 된다. before it ~에서 it는 your visa를 받는다.
정답: (C) 당신은 비자가 만료되기 전에 기간을 연장시켜 놓는 것이 좋을 것이다.
277. In fact, Mary _______________ for San Francisco than have stayed in Los
Angeles.
(A) would rather left
(B) would rather have left
(C) had better leave
(D) would better have left
어휘: in fact 사실, 실은 / leave for ~ ~를 향해 떠나다, ~로 떠나다
해설: than과 같이 쓰일 수 있는 것은 would rather뿐이다. would rather도 하나의 조동사처럼 취급하게 된다. than 뒤에 have stayed하고 현재완료가 쓰였으므로 would rather 뒤에도 시제가 일치하는 표현을 찾아야 한다.
정답: (B) 사실 메리는 로스엔젤레스에 머무르기 보다는 샌프란시스코로 떠난 편이 나았다.
278. When he (A) was a little boy, Mark Twain (B) walked along the piers,
(C) watch the river boats, swim and (D) fish in the Mississippi, much like
his famous character, Tom Sawyer.
어휘: walk along ~ ~을 따라 걷다 / pier 방파제 / watch 주의깊게 보다 / much like ~ ~과 아주 흡사한 / character (소설이나 드라마 속의) 인물, 사람
해설: 어린 소년 시절의 불규칙적인 습관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조동사 would가 필요하다. 따라서 walked는 would walk가 되어야 한다. 또 뒤에 오는 watch, swim, 그리고 fish도 모두 이 would에 걸리는 동사들이다. his famous character와 Tom Sawyer는 동격관계이다.
정답: (B) 어린 시절 마크 트웨인은 그의 유명한 (소설 속의) 인물인 탐 소여와 똑같이 방파제를 따라 걷고, 강의 배들을 주의깊게 보고, 미시시피 강에서 수영이나 낚시를 하곤 했었다.
279. If you (A) will (B) have friends, first (C) learn (D) to do without them.
어휘: have friends 친구를 얻다 / learn to do ~하는 것을 배우다 / do without ~ ~없이 지내다
해설: if절에 쓰인 조동사 will은 문맥상 적절하지 않다. would는 가정법동사로 쓰여 wish to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므로 will을 would로 바꾸는 것이 적합하다.
정답: (A) 만약 당신이 친구를 얻고 싶다면 먼저 친구 없이도 지내는 법을 배워라.
280. The work that you (A) did like to do someone else (B) may be doing; but
(C) there is some work (D) waiting for you.
어휘: work 일, 작업 / someone else 누군가 다른 사람 / wait for ~ ~를 기다리다
해설: 「~하고 싶다」의 뜻의 구문은 would like to do이다. 여기서 that you would like to do는 관계대명사절로서 that의 선행사인 the work를 수식하고 있다. 따라서 앞 문장의 뼈대는 The work someone else may be doing, 즉 Someone else may be doing the work가 된다. some work와 waiting for ~사이에는 which is를 보충해 보면 의미 파악이 쉬워질 것이다.
정답: (A) 당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을 다른 사람이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당신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일도 있는 법이다.
281. They (A) would come out to attack and then (B) disappeared back into
the deep forests, (C) where their opponents (D) were at a disadvantage.
어휘: attack 공격하다 / disappear 사라지다 / deep 깊은 / forest 숲, 산림 / opponent 대립자, 적대자 / advantage 불편, 불리
해설: 이 문장은 의미상 They would come out ~ and then (they would) disappear ~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즉, 미래의 불규칙적인 습관을 나타내는 조동사 would가 come out과 disappear에 모두 걸리게 된다. 따라서 disappeared는 원형으로 쓰여야 한다. be at a disadvantage는「불리하다, 불리한 입장에 있다」라는 뜻의 표현이 된다.
정답: (B) 그들은 밖으로 나와 공격을 하고는 그들의 적들에게 불리한 깊은 숲속으로 다시 사라져 버리곤 했다.
282. You _______________ your flight reservation. I think it would be safer,
and it would only take a few minutes to do it.
(A) should have to confirm
(B) should confirm
(C) confirmed
(D) would confirm
어휘: flight 비행기 편 / reservation 예약 / confirm 확인하다
해설: 「~해야 한다」는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에는 must, should, have to, ought to가 있다. (A)에는 should와 have to가 중복되어 쓰여 있으므로 틀렸다. I think 다음에는 목적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어 있다. it would be safer의 it와, to do it의 it은 앞 문장의 내용중 to confirm your flight reservation을 대신한 말이고, it would only take의 it은 시간을 나타내는 비인칭 주어 it이다.
정답: (B) 당신은 비행기편 예약을 확인해 두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안전할 것이고, 또 그렇게 하는데 시간도 몇 분 걸리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283. My husband got lost again last night; I _______________ let him go
by himself.
(A) should never have
(B) should have never
(C) should never
(D) won't ever
어휘: get lost 길을 잃다 / let someone go 아무개를 가게 하다 / by oneself 혼자서
해설: 지난 일에 대한 유감의 뜻으로「~했어야만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라는 의미를 갖는 「should have+과거분사」의 구문이 필요하다. 부정어는 should 바로 뒤에 위치하게 된다.
정답: (A) 내 남편은 어제밤에 또 길을 잃었다. 나는 그가 혼자 가도록 하지 말았어야 했다.
284. How _______________ have come to know that?
(A) should you
(B) would you like to
(C) will you
(D) do you
어휘: come to do ~하게 되다
해설: should가 why나 how 등과 함께 쓰여 의아함이나 놀라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문맥상 가장 적합한 것은 (A)이다.
정답: (A) 어떻게 그것을 알게 되었습니까?
285. I really wonder my uncle _______________ commit an error.
(A) shall
(B) will
(C) should
(D) must have
어휘: wonder 궁금해 하다, 알고 싶어하다 / commit an error 실수하다, 잘못을 저지르다
해설: 의외나 유감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의 종속절에는 「should+동사의 원형」이 쓰인다. wonder라는 의아함을 나타내는 동사가 있으므로 목적절에 있는 동사 commit 앞에 쓰일 수 있는 조동사는 should이다.
정답: (C) 나의 삼촌이 잘못을 저질렀는지 나는 정말로 궁금하다.
286. He applied himself closely to his task lest he _______________ .
(A) won't fail
(B) shall not fail
(C) should fail
(D) should not failed
어휘: apply oneself to ~ ~에 몰두하다 / closely 밀접하게, 단단히 / task 일 / lest ... should do ...가 ~하지 않도록
해설: lest ... should do의 구문은 「...가 ~하지 않도록」이라는 뜻의 표현이다. 이 구문에서는 lest에 부정의 의미가 있으므로 not이나 never 등 다른 부정어를 중복해서 쓰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정답: (C) 그는 실패하지 않도록 그의 일에 아주 몰두했다.
287. The prime (A) minister's conviction for improper campaign
(B) practices is likely to (C) result in increasing pressure that
(D) he resigns.
어휘: prime minister 수상 / conviction 신념 / improper 부적절한 / campaign practices 선거 운동 방식 / be likely to do ~할 가능성이 있다 / result in ~ 결국 ~되다 / increase 증가시키다 / pressure 압력 / resign 사퇴하다, 물러나다
해설: 권고나 명령 등의 강압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문장의 종속절에도 「should+동사의 원형」이나 그냥 동사의 원형이 쓰이게 된다. 따라서 he resigns는 he should resign이나 he resign이 되어야 한다. that he (should) resign은 pressure와 동격관계의 명사절이다.
정답: (D) 부적절한 선거운동 방식에 대한 수상의 신념으로 인해 그가 사퇴해야 한다는 압력이 점증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288. My counselor (A) suggested that I (B) would make my professor
(C) change my grade since I (D) was sick on the day of the exam.
어휘: counselor 지도 교사 / suggest 제안하다, 제의하다 / make someone do 아무개가 ~하게 하다 / grade 성적
해설: suggest라는 동사의 목적절에는 반드시 「should+동사의 원형」이나 동사의 원형이 쓰여야 한다. 따라서 would는 should로 바뀌어야 한다. that 이하는 모두 suggested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이다. make my professor change ~는 「make+목적어+동사원형」의 구문으로서 「목적어가 ~하도록 만들다」라는 뜻이 된다. since I was sick ~이하는 that명사절 내에서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끈다.
정답: (B) 내 지도 교사는 내가 시험을 치르는 날에 아팠기 때문에 교수가 내 성적을 변경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의했다.
289. He (A) ignored his doctor's advice (B) that he (C) has to take a
vacation for a week (D) or so.
어휘: ignore 무시하다 / take a vacation 휴가를 얻다 / or so ~정도, 쯤
해설: 충고나 조언을 나타내는 문장의 종속절에도 「should+동사의 원형」이 쓰여야 하므로 has to는 should가 되어야 한다. that he should take a vacation for a week or so는 doctor's advice와 동격관계에 있는 명사절이다.
정답: (C) 그는 일주일 남짓 휴가를 취해야 한다는 의사의 권고를 무시했다.
290. The (A) irritable sergeant (B) was insistent that nothing (C) supersedes
the drilling of (D) the forty new men.
어휘: irritable 성마른 / sergeant 상사 / insistent 완강히 주장하는, 고집하는 / supersede 대신하다 / drilling 훈련 / new man 신병
해설: 고집을 나타내는 문장의 종속절에도 「should+동사의 원형」이나 동사의 원형이 쓰여야 한다. 따라서 supersedes는 should supersede나 supersede로 바뀌어야 한다. that nothing ~이하는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insistent에 계속되는 부사절이다.
정답: (C) 그 성마른 상사는 어떤 것도 40명의 신병들에 대한 훈련을 대신할 수 없다고 완강히 주장했다.
291. "Why are you leaving so early?"
"Sorry, but I really _______________ ."
(A) have to
(B) had to
(C) must to do
(D) doing so
어휘: leave 떠나다, 가다
해설: 「~해야 한다」는 must 대신 쓸 수 있는 말은 have to이다. (B)의 had to는 시제가 적합하지 않다.
정답: (A) 「왜 이렇게 일찍 떠나려 하세요?」 - 「미안하지만 정말 가봐야 합니다.」
292. All the lights are on; the Browns _______________ up.
(A) must got
(B) must getting
(C) must get
(D) would get
어휘: light 전기불, 전등 / on (불이) 켜진 / the Browns 브라운 씨 부부 / get up (잠자리에서) 일어나다
해설: must에는 「~임에 틀림없다」라는 강한 추측의 의미도 있다.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의 원형이 온다.
정답: (C) 불이 모두 켜져 있다. 브라운 씨 부부가 일어나 있음에 틀림없다.
293. John _______________ a restless person. He kept moving from country
to country.
(A) must be
(B) should be
(C) must have been
(D) should have been
어휘: restless 한시도 가만히 있지 않는 / keep moving 계속 옮겨 다니다 / from country to country 이 나라 저 나라로
해설: 두번째 문장이 과거시제인 점으로 미루어 첫번째 문장은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must have+과거분사」가 쓰여야 한다.
정답: (C) 존은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사람이었음에 틀림없다. 그는 이 나라에서 저 나라로 끊임없이 옮겨 다녔다.
294. Since the road is wet this morning, it _______________ last night.
(A) must rain
(B) had to rain
(C) must be raining
(D) must have rained
어휘: since ~ 때문에 / wet 젖은
해설: 지난 밤에 이루어진 일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므로 「must have+과거분사」의 형태가 필요하다.
정답: (D) 오늘 아침에 길이 젖어 있는 것을 보니 지난 밤에 비가 왔음에 틀림없다.
295. The first thing which a student should bear in mind is that a book
_______________ read for more amusement.
(A) ought not to be
(B) ought to not be
(C) not ought to be
(D) ought to be not
어휘: bear in mind 명심하다, 유념하다 / more 오히려 (more A than B(B라기 보다는 오히려 A인)의 형태로 쓰이는 것이 원칙이나 여기에서는 than B에 해당하는 부분이 생략되었다.) / amusement 즐거움
해설: ought는 「ought+to 부정사」의 형태로 쓰이는 조동사이므로, 그 부정형은 「ought not+to 부정사」가 된다. which a student should bear in mind는 이 문장의 주어인 the first thing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다. 관계대명사 which는 bear의 목적어이며, 선행사는 the first thing이다. that이하는 명사절로서 is의 보어이다.
정답: (A) 학생이 유념하고 있어야 하는 가장 첫번째 것은 책이란 즐거움을 위해 읽혀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296. Students (A) must remitted tuition (B) whether they (C) were
here during the hurricane (D) or not.
어휘: remit (돈을) 보내다, 부치다 / tuition 수업료 / whether ~ or not ~이든 아니든 간에
해설: must의 과거형은 그냥 must이며, must다음에는 동사의 원형이 오게 된다. 여기서 whether는 「~이든 아니든」의 의미를 갖는 양보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쓰였다.
정답: (A) 학생들은 폭풍 기간 동안 여기에 있었건 없었건 간에 수업료를 내야만 했다.
297. She (A) used rather harsh words in (B) denouncing him; but she
(C) must have some very strong motive for (D) doing so.
어휘: rather 얼마간, 다소 / harsh 거친 / words 말, 표현 / denounce 비난하다 / motive 동기
해설: 과거의 일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므로 must have가 must have had로 바뀌어야 한다.
정답: (C) 그녀는 그를 비난하는데 다소 거친 표현을 사용했다. 그러나 그녀가 그렇게 해야 했던 아주 강한 동기가 있었음에 틀림없다.
298. After (A) searching for evidence in the house, the police (B) concluded
that the thief (C) must have come in through the window and (D) stole
the gold while the family was asleep.
어휘: search for ~ ~을 찾기 위해 수색하다 / evidence 증거 / conclude 결론을 내리다 / thief 도둑 / stole steal(훔치다)의 과거형 / asleep 잠든
해설: stole은 앞의 must have와 연결되어 과거의 일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이 되어야 한다. must have 다음에는 과거분사가 와야 하는데 stole은 과거형이다. 과거 분사형은 stolen이다. that이하 문장 끝까지는 that이 이끄는 명사절로서 동사 concluded의 목적어가 되는 것이다.
정답: (D) 집 안에서 증거를 찾기 위한 수색을 마친 경찰은 집안 식구들이 잠을 자고 있는 사이에 도둑이 창문으로 들어와 그 금을 훔쳤음이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299. Although we (A) are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energy sources,
we (B) must never fail (C) to recognize the need (D)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어휘: be concerned with ~ ~에 관여하다 / energy sources 에너지 자원 / never fail to do 반드시 ~하다 / recognize 인식하다 / environmental protection 환경보호
해설: 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must의 부정형은 must not이다. must not fail to do는 「~하는데 실패하지 말아야 한다」, 즉 「반드시 ~해야만 한다」는 뜻의 표현이 된다.
정답: (B) 우리가 비록 에너지 자원의 문제에 관여하고는 있으나 환경보호의 필요성도 반드시 인식하고 있어야만 한다.
300. Drinking liquor _______________ affect one's health.
(A) must be dangerously
(B) can seriously
(C) seriously can
(D) seriously endanger
어휘: liquor 술, 알콜 음료 / affect 영향을 미치다 / dangerously 위험하게 / seriously 심각하게 / endanger 위태롭게 하다
해설: affect(영향을 미치다)라는 동사의 원형이 있으므로 그 앞에 쓰일 수 있는 적당한 조동사를 찾으면 된다. 여기서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can이 적당하다. 부사는 조동사와 동사의 사이에 쓰인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다. drinking liquor는 「술을 마시는 것, 음주」의 뜻이며, drinking은 동명사로서 이 문장의 주어로 쓰이고 있다.
정답: (B) 음주는 사람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