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K영어 가이드'

영문법

기초영문법 - 문장종류/ 평서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기원문

써니제이 스피킹 2006. 10. 5. 17:04

영문법의 기본 개념

 

5. 문장의 종류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기원문

 

* 평서문 / I am happy.

 

* 의문문 / You are happy are you happy?

        You can speak English can you speak English?

        She speaks English well does she speak English well?

 

(be, 조동사가 들어 있는 문장은 주어와 서로 위치만 바꿔주면 되나, 일반동사가 들어있는 문장은 do,does,did를 사용하고 뒤에 동사원형을 쓴다.)

 

의문문의 종류

 

1. yes, no 의문문 : yes, no로 대답할 수 있는 의문문

Do you speak English?

-         yes, I do.

-         No, I dont

 

2. 부정 의문문 : 부정으로 물어보는 의문문

Cant you speak English?

-         yes, I can.

-         No, I cant

 

우리 말과는 달리 영어에서는 긍정으로 묻든, 부정으로 묻든 대답은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 로 대답한다.

단지 해석에서만 차이가 나는데, 부정의문문인 경우 yes 는 아니오, no 는 예로 해석된다.

 

3.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 wh-를 붙여 who, whose,what,which,where,when,why 로 시작하는 의문문

Whats the date today?

 

4. 선택 의문문: 선택의 or (또는) 을 붙여 물어보는 의문문

Do you go to school by subway or by bus?

 

5. 부가 의문문: 문장 끝에 단축형 의문문을 붙이는 의문문

You are a student, arent you?

 

6. 간접 의문문: 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일부가 된 것으로,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이며, 동사가 think, suppose, imagine, guess 등의 생각 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 뒤에 간접의문문이 오면 의문사가 문두로 나간다.

 

What do you think he is?  (Do you think? + What is he?)

Whom do you suppose she met? (Do you suppose? + Whom did she meet?)

 

7. 수사 의문문: 대답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듣는 이에게 납득시키기 위해 반어적으로 표현한 의문문

Who knows the fact? = Nobody knows the fact.

 

* 명령문 / 긍정명령문 Be honest and diligent

         부정명령문 Dont forget your promise

         간접명령문 Lets go together = Dont lets go together = lets not go together.

         조건명령문

Work hard, and you will pass the exam = If you work hard, you will pass the exam

Work hard, or you will not pass the exam = If you do not work hard, you will not pass the exam.

 

긍정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시작하고, 부정명령문은 Dont (never) + 동사원형으로 쓴다

간접명령문은 Let 으로 시작하여, let + 동사원형 의 형태가 되며, 간접명령문의 부정은 let 앞에 dont 을 넣던지, 동사원형 앞에 not을 넣어서 만든다.

                     

* 감탄문 / what an interesting book it is!

        = How interesting the book is!

 

What + (a.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

How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

 

* 기원문 / (May) God bless you! 신의 축복이 있기를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관계없이, 기원문은 동사원형을 사용하며, 조동사 may 는 흔히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