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사 기본개념
접속사란 말 그대로 무언가를 연결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를 말합니다. 영어에서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1) 접속사의 형태에 따른 분류
단순접속사: and, but, for, that처럼 하나의 단어가 접속사 기능을 하는 경우.
She is beautiful and smart.
(그녀는 아름답고 똑똑합니다)
접속사 “and”가 형용사 beautiful과 smart를 연결하고 있음.
접속사구: as well as, in case처럼 한 단어가 아닌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그 전체가 접속사 기능을 하는 경우.
She is beautiful as well as smart.
(그녀는 똑똑할 뿐만 아니라 아름답습니다)
접속사구 “as well as”가 beautiful과 smart를 연결하고 있다. “and”와 차이는 연결하는 논리가 다릅니다. “and”는 단순히 나열식으로 연결할 뿐이지만, “as well as”는 as well as 앞에 오는 말을 강조하기 위해 as well as 뒤에 오는 말을 하나의 배경이 되는 비교대상으로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상관접속사: both -- and, either -- or, neither -- nor처럼 접속하는 대상 의 특별한 상관관계를 밝혀 주는 접속사.
Both he and she went to school.
(그와 그녀는 둘 다 학교에 갔다)
위의 문장을 단순히 He and she went to school로 할 수도 있지만 “Both he and she”로 한 이유는 “he”와 “she” “둘다”라는 의미와 상관관계를 강조하기 위한 것임.
2) 접속사의 기능에 따른 분류
등위접속사: 연결하고자 하는 단어, 구, 절의 모양이나 품사적 기능이 서로 동등할 때 사용되는 접속사를 말한다. and, but, or, so, for가 대표적인 등위접속사이다.
ⓐ Jim and Tom are my friends.
- 동일한 명사 Jim과 Tom을 and가 연결하고 있습니다.
ⓑ I like playing golf and studying English.
- and가 같은 모양의 동명사구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 I like to play golf and studying English. (x)
- 같은 명사구를 and가 연결하고 있지만 명사구의 모양이 틀리기 때문에 문장이 틀립니다.
ⓒ I like apples and she likes oranges.
- 2개의 문장을 and가 연결하고 있습니다.
(핵심사항) 등위접속사의 핵심은 연결하고자 하는 부분의 품사적 기능이나 모양까지도 같아야 한다는데 있습니다.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부분의 의미상 논리에 따라 적절히 접속사를 선택하면 됩니다.
종속접속사: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종속접속사는 when, while, as, since, because, if, though등이 있습니다. 종속접속사의 선택은 종속절이 주어와 어떤 의미관계로 연결되는가에 달려있습니다.
ⓐ When you come here, we will have our dinner.
(네가 여기에 올 때, 우리는 저녁을 먹을 것이다)
접속부사 when은 절을 이끌며, when절 전체가 종속절로서 주절에 대한 보조적 역할을 한다.
“when”은 여기서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부사이다.
ⓑ Because we don't have money, we have to walk home.
(우리는 돈이 없기 때문에, 집으로 걸어가야 한다)
접속부사 because는 종속절을 이끌며, 주절을 의미적으로 보조하고 있다.
because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부사이다.
(핵심사항) 종속접속사를 이용하여 부사절(종속절)만들 때 유의해야 하는 점은 시제관계이다. 주절의 시제와 종속절의 시제가 논리적으로 합당한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접속사의 종류
1) 등위 접속사[Co-ordinate conjunctions]
등위 접속사는 그 접속사에 이어지는 두 문장이 같은 무게를 지니게 되는 접속사란 말입니다. 말하자면 앞 문장이건 뒷 문장이건 문장 구성에 있어서 꼭 필요하다는 얘기죠.
and[첨가/in addition] but[대조/however]그러나 or[alternatively]
so[결과/result]그래서 nor[and not/and neither] yet[however/but]하지만/그러나 for[이유/cause]
(1) and
영어 문장에서 가장 먼저 자주 만나는 and가 여기에 속합니다. 가장 단순하고 이해가 쉽지만 and는 가장 어려운 접속사입니다. and 뒤로는 생략되 버린 문장 때문에 곧잘 혼란에 빠지기 쉽습니다. 어려운 문장으로 몇 시간을 보내본 사람이면 다 경험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구문편에서 더 공부 할 수 있습니다.
등위 접속사는 접속사로 이어진 두 낱말이나 문장의 중요성이 같다는 말을 이해해야합니다.
and→첨가[addition]/ 대등적 서술-그리고 and앞엔 커머가 붙지 않는다
The Mohave is a big desert and a frightening one.
모하브는 광대하고 놀라운 사막이다.
Jane and Bo went up the hill. 문장에서 Jane과 Bo 는 어느 쪽을 강조하는 것도 아니고 동일하게 취급됨
Hurry up, and you'll get to the airport in time.
←If you hurry up, you'll get to the airport in time.
[정리] 등위접속사 and는 이론적으로 단어와 단어, 구와 구,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요소들이 품사와 모양이 동일해야 한다.
① The book is old and cheap. (형용사를 연결)
② You and he are my friend. (명사를 연결)
③ Go and pick up the newspaper. (동사를 연결)
④ To smoke and to shout are not allowed here. (명사구를 연결)
(2) but→ 대조[contrast]-그러나
but의 앞 뒤 문장이 상반되거나 대립적인 문장이 오게됩니다.
The wine is sweet, but the bread is moldy.
포도주는 맛이 좋은데 빵은 곰팡이 내가 난다.
The fur of polar bears is often pure white, but sometimes one will find a bear with gray fur. but 이 두 개의 절을 이음. 북극곰은 순수 백색이지만 가끔 회색 털 가진 놈도 찾을 수 있다.
but은 서로 논리적으로 상대적인 단어, 구, 문장을 연결할 수 있다.
① He is tall, but his girl friend is short. (문장을 연결)
but중심으로 하는 앞뒤의 의미관계가 서로 상반되고 있다.
② She is beautiful but unkind. (형용사를 연결)
beautiful과 unkind라는 서로 상충되는 성질을 연결하고 있다.
③ That is not a microwave, but a television.
" not A, but B"는 A가 아니라 B라는 뜻이다.
(3) or
or →선택[choice]/대안적 서술-바꿔 말하면, 혹은, 그렇지 않으면
Is that a distant oasis, or do my eyes deceive me?
저 멀리 오아시스인거야, 내 눈이 잘못 본건가?
You'll find shampoo products on aisle two or on aisle three. 문법적으로 동일한 요소가 들어감. 이걸 병렬관계라 하는데 자주 출제됨. 물 머리비누는 통로2 나 통로3에 있어요.
Hurry up, or you'll miss the show.
←If you don't hurry up, you'll miss the show.
“혹은”에 해당되는 등위접속사.
He or I have to clean the room. (명사를 연결)
(그녀 혹은 내가 그 방을 청소해야 한다)
or로 연결된 주어일 때, or 뒤에 오는 명사에 맞추어 뒤에 오는 동사의 모습을 결정한다.
Study hard, or you will fail the exam.
(공부 열심히 해라, 그렇지 않으면 넌 시험에 실패할 거야)
“명령문 + , or”는 “--하라 그렇지 않으면”의 의미가 된다.
Either you or she has to go.
(너나 혹은 그녀 중 한 사람이 가야 한다)
“either A or B”로 형성된 경우 B를 중심으로 뒤에 오는 동사의 형을 결정한다.
(4) so→ 결과[result] 서술-그래서
The honeymooners began quarreling, so now they sleep in different rooms.
신혼부부들이 싸우더니 지금 딴 방에서 잔다.
The industrialists are monsters, so we believe their doctrine is monstrous.
산업주의자들은 괴물들이어서 그들의 신조도 기괴하다.
“그래서”라는 뜻으로 주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등위접속사이다. 따라서 의미상 “so”가 연결하는 두 문장은 이유와 결과의 관계를 유지한다.
He is rich, so He can buy the car.
(그는 부자이다, 그래서 그는 그 차를 살 수 있다)
“so”가 연결하는 뒤의 문장은 앞의 문장에 대한 결과에 해당된다.
(5) for →이유[reason]
~을 알고서/~이래로/~왜냐하면 to mean seeing that, since, or because for는 주로 문어체로 사용하나 문두에 오지 않는다.
He went to the party alone, for I refused go with him.
그가 파티에 홀로 가는 걸 알고 난 그와 함께 가는 걸 거절했다.
He went to the party alone. For I refused go with him.
위 문장을 이처럼 둘로 잘라 for를 문장 앞에 두는 때가 자주 눈에 띕니다. 혼동하지 말아야죠?
The parish priest is desperate and anxious, for his congregation is nearly gone.
for는 문장을 시작할 때 쓰지 않음. because는 종속접속사로, 문두에 나올 수 있음. 교구 신부는 신도들이 사라져 절망과 근심에 빠져있다.
“--하기 때문에”라는 이유를 나타내는 등위접속사로서, 문장과 문장을 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for가 붙은 문장은 이유를 설명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He loves poetry, for he is very artistic.
(그는 시를 사랑한다, 왜냐하면 그는 매우 예술적이기 때문에)
“for”가 연결하는 문장은 이유가 된다.
(6) nor 부정적 서술/그리고..이 아니다
He nor I plan to attend any social functions this year.
그도 나도 올해엔 사회행사엔 참석할 계획이 없다.
The Irish famine of 1846-50 took a million lives, nor was a single household spared hardship.nor=and not .
1846-50 년에 발생한 아일랜드 기근은 백만의 생명을 앗아갔고, 고통을 당하지 않는 가구가 하나도 없었다.
He no longer dreamed of storms, nor of women, nor of great occurrences, nor of great fish, nor fights, nor contests of strength, nor of his wife. He only dreamed of places now and of the lions on the beach. They played like young cats in the dusk and he loved them as he loved the boy. -Hemingway's The old man and the sea.
그는 더 이상 폭풍을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자도, 커다란 사고도, 커다란 고기도, 힘자랑도, 아내도 생각하지 않았다. 노인은 단지 지금의 이 곳과 해변의 사자를 생각했다. 그들은 마치 해질 녘의 어린 고양이처럼 뛰어 놀았고, 그는 어린 소년을 사랑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을 사랑했다.
yet → 대조[contrast]=though, still, and nevertheless/그러나, 하지만
The pudding is good, yet it could have been better.
푸딩 잘 만들어졌어, 더 나을 수도 있었겠지만.
(7) only→ but, if not
I would offer to baby-sit, only I'm going out myself.
아길 봐 줄텐데, 외출하지 않는다면.
I'd offer to help, only I'm really busy just now.
널 도울 수 있을텐데말야, 지금 바빠서
출처-영잘원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0) | 2010.07.20 |
---|---|
문장과 문장의 구성성분 (0) | 2010.07.20 |
영어 콤마 사용법~ (0) | 2010.07.16 |
명사 (0) | 2010.07.12 |
전치사의 종류와 다양한 의미 (0) | 2010.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