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K영어 가이드'

영어정보·노하우

영어회화잘하는법 - 퇴근, 야근

써니제이 스피킹 2010. 2. 18. 15:28

[영어회화잘하는법] 영어회화잘하는법 - 퇴근, 야근

 

 

영어회화잘하는법 1. 안 좋은 말을 전하게 됐을 때는

Sorry to say this, but ~. 

이런 말해서 미안하지만~.


Sorry to say this, but + I can't make it.  이런 말해서 미안하지만 난 못 가.

Sorry to say this, but + I don't love you.  이런 말해서 미안하지만 널 사랑하지 않어.

Sorry to say this, but + I can't help you.  이런 말해서 미안하지만 널 도와줄 수 없어.

Sorry to say this, but + I'm not happy with you.  이런 말해서 미안하지만 너한테 불만이 있어.



영어회화잘하는법 2. 알레르기가 있거나, 그만큼 뭔가를 정말 싫어할 때는

I'm allergic to ~ .  난 ~에 알레르기가 있어. ~은 정말 싫어.


 I'm allergic to + dogs.          난 개 알레르기가 있어.

 I'm allergic to + pollen.          난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어.

 I'm allergic to + sunlight.        난 햇빛 알레르기가 있어.

 I'm allergic to + peaches.       난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어.

 I'm allergic to + musicals.       난 뮤지컬은 정말 싫어.



영어회화잘하는법 3. 나도 모르게 어떤 행동을 해버렸다고 인정할 때는

I must have ~[과거분사].  내가 ~ 했었나봐.  내가 ~ 했던 거야.


 I must have +         failed you.             내가 널 실망시켰었나봐.

                        been in love.           내가 사랑에 빠졌었나봐.

                        made a mistake.       내가 무슨 실수를 했었나봐.  

                        been out of my mind.  내가 정신이 나갔었나봐.

                        dialed the wrong number. 전화를 잘못 걸었나보네요.



영어회화잘하는법 4. 확신할 순 없지만 어떤 일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면

I might ~ .

~ 할지도 몰라. 


I might +       be wrong.              내가 틀렸을지도 몰라.

I might +     pass the test.          시험에 통과할지도 몰라.

I might +     go out tonight.         오늘 밤 외출할지도 몰라.

I might +     win the lottery.         복권에 당첨될지도 몰라.

I might +   become a singer.      내가 가수가 될지도 몰라.


과거형과 현재형이 같은 확률 조동사

과거의 확률은 현재완료로 추측한다

 

수홍:

행님, “I must have blacked out.”은 과거의 일을 말하는 건데 must에다가 현재완료형이 붙어 있고, “I might miss the last bus.”는 미래의 일을 예측하는 건데 과거형인 might가 붙어 있고... 도대체 시제가 왜 맞지 않는 거야?


I       might           miss the last bus.

나는    할 수도 있다          마지막 버스를 놓침


I       must           have blacked out.

나는    틀림없다               필름이 끊겼다



근철: 

‘확률’을 나타낼 때 쓰이는 조동사에는 will(아마도), must(틀림없이), may(확실히), can(어쩌면) 등이 있지. 굳이 구분하자면 will과 must는 어떤 일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은 경우, may는 반반인 경우, can은 1~99% 사이에서 어쨌든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고 보면 돼.

이 조동사들이 확률을 나타낼 때는 현재형과 미래형이 구분 없이 쓰여. 즉, “I might miss the last bus.”와 “I may miss the last bus.”가 둘 다 “버스를 놓칠 수도 있다”는 뜻이지. 그렇다면 “버스를 놓쳤을 수도 있다”는 표현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때 필요한 게 바로 현재완료(have+현재분사)야. 두 번째 문장에 현재완료가 사용된 것도 그 때문이지. 만약 “I must black out."이라고 하면 ”나는 반드시 필름이 끊겨야 한다.“라는 미래형이 되어 버리니까 말야.

하나 더! 조동사 사이의 의미도 구분해야 해. “I must have blacked out.”이라고 하면 필름이 끊겼던 게 거의 확실하다고 보는 거고, “I may(=might) have blacked out.”이라고 하면 “어쩌면 필름이 끊겼던 것일지도 몰라.” 정도로 확률이 낮아지는 거지.

 

 

 

배운 것을 말할 상황이 오면 겁내지 말고 도전하세요! 지금까지 익힌 문장만으로도 그럴듯한 대화가 가능합니다. 친구와 또는 거울을 보며 대화하면 할수록 실력도 늘어납니다.

 

영어회화잘하는법 situation 01   

A: We're having a staff dinner this evening. 

B: Sorry to say this, but I can't join you.

A: Oh come on! We'll eat and then let's go bar hopping!

B: Sorry. Actually, I feel a bit under the weather today.


A: 오늘 회식 있습니다.

B: 죄송하지만 저는 참석 못할 것 같아요. 

A: 말도 안 돼. 저녁 먹고 2차도 가자고!

B: 죄송해요. 사실은 오늘 몸이 좀 안 좋아서요.


영어회화잘하는법 situation 02

A: Let me pour you a drink.

B: OK, thanks. But it's later than I thought. I must leave now.

A: The night is still young! One for the road!

B: I might miss my last bus.


A: 제가 한 잔 따라 드릴게요.

B: 고마워요. 근데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됐네요. 지금 일어나야겠어요.

A: 아직 초저녁인데 어딜 가요? 마지막으로 딱 한 잔만 하고 가!

B: 막차 놓치겠어요.


 

 

 

[영어회화잘하는법] 영어회화잘하는법 - 퇴근, 야근 

 

출처
[직접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