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of B’라고 하면 A가 B의 성질을 그대로 띤 채 나오는 것이 되고 of 대신에 ‘분리’, ‘출신’, ‘거리’를 나타내는 from이 쓰이면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원래의 재질을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변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사진 설명에서 ‘T-shirts made of hanji made from mulberry tree’라고 쓴 것입니다. 예를 들어, ‘The table is made of wood.’에서 of는 나무의 재질이 화학적 변화 없이 물리적으로 모양에만 변화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Milk is made of cheese.’에서 from은 지식이 없으면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난 것을 나타냅니다.
October 11, 2008 |
‘wait’는 ‘기다리다’의 뜻으로 쓰일 때 기다리는 대상이 바로 목적어로 나올 수 없고 동사 wait 다음에 전치사 for가 쓰이고 그 다음에 기다리는 대상이 나오게 됩니다. ‘await’의 경우에는 바로 목적어로 기다리는 대상이 나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wait를 자동사 await를 타동사라고 하는데 어떤 동사가 자동사나 타동사 중 하나로 정해지는 경우는 많지 않고 대개는 두 가지 모두로 쓰입니다. wait의 경우도 자동사라고 고정해서 알아서는 안 됩니다. wait가 ‘기다리다’의 뜻이 아니라 ‘기다리게 하다’, ‘지연시키다’의 뜻일 때는 목적어가 바로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n’t wait dinner for me’라고 하면, ‘나 때문에 저녁 미루지 마’의 뜻이 되는 거죠.
|
August 09, 2008 |
시위를 뜻하는 단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위를 demo데모라고도 하는데 영어demonstration을 줄여서 말하는 것입니다. demonstration은 ‘입증’, 표명’ 한다는 의미에서의 시위를 뜻합니다. 자기가 옳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죠. protest는 ‘항의하다’, ‘따지다’로 쓰이는 단어로 또한 ‘시위’를 뜻하기도 합니다. rally는 다시 모인다는 뜻으로 ‘집결’, ‘집회’를 뜻합니다. vigil은 본다는 뜻에서 ‘경계’, ‘감시’, ‘망보기’의 뜻으로 쓰입니다. 감시하거나 망을 볼 때 밤을 새게 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밤샘 간호’, ‘철야기도’, ‘철야 시위’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그래서 밤새 촛불 시위하는 것을 candlelight vigil이라고 합니다. sit-in은 한 장소에 장시간 버티며 하는 시위를 뜻합니다. 말 그대로 들어 앉는 거죠. 영어는 이렇게 같은 내용을 여러 개의 단어를 바꿔가며 지칭하니 잘 알아두세요. | |